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광장과 밀실의 이원적 상상, 그 가능성과 한계

이용수 257

영문명
As a Dualistic Imagination, ‘Plaza’ & ‘Chamber’, its Possibility & Boundary
발행기관
한국문학회
저자명
박훈하(Bak, Hun-Ha)
간행물 정보
『한국문학논총』제50집, 445~469쪽, 전체 25쪽
주제분류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08.12.31
5,8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고는「광장」이 제시하는 관념적 구성물, 즉 ‘광장’과 ‘밀실’의 상징성을 의도적으로 피하고 가능한 한 주인공의 욕망이 표출된 축자적인 기호들을 통해, 이 작품이 당대의 집단적 욕망과 어떻게 조응했고, 또한 그 욕망을 어떻게 견인했는가를 살폈다. 그 결과 우리는 이 작품의 소설적 구성이 하나의 시점을 내포하고 있음을 발견했고, 그 시점이 당대의 강력한 지배 담론이었던 ‘근대화론’과 구조적 근친성을 내포하고 있음을 보았다. 그 근친성의 내용은 ‘자신의 역사와의 단절’과 그 ‘기원의 소멸’이라는 표현으로 압축될 수 있다. 「광장」이 우리에게 제공해준 ‘시점-근대화론’은 사실상 남북 양 체제에 대한 객관적이고 공정한 비판이 아니었다. 이 작품은 애초에 남한사회에 대한 비판을 위한 것이었고, 그런 만큼 이 비판에는 세계체제의 수용이라는 전제가 이미 그 기저에 깔려 있었다. 우리는 이 전제를 적극적으로 받아들 임으로써 현재에 이르렀지만, 전쟁과 분단의 절망으로부터 벗어나기 위해 설정된 이 전제가 또 다른 절망의 입구일 수 있다는 사실, 그러한 탈식민적 사유가 본고의 기본 골격이다. 「광장」을 하나의 고전으로 읽는다는 것은, 이 작품의 역사적 상상력이 지금 우리가 살고 있는 이 시대를 어떻게 열었는가를 이해하는 일과 한편으로는 이로부터 구조화된 우리의 현실로부터 벗어 나기 위해 이 작품을 어떻게 생산적으로 부정할 것인가를 동시에 모색해야함을 의미하기 때문이다.

영문 초록

This study researched how to corresponded with a massive desires of the age and how it to drew its desires through the literal signs that the desires of a hero as avoid as possible for a symbolic meaning of this novel. As a result, we found that a plot of this novel included a very spacial point of view, and this a point of view also included the structural homologies with ‘Modernization Theory’ which was a dominated discourses in 50․ 60's. The Contents of this structural homologies was described as and . Up to now, the answer we has been finding from was mainly the cognition of overcome division through a dialectical sublation of ‘plaza’ and ‘chamber’. This enlightening problematic might be confine a questioner to a particular cognition. Because the point where questions was started is the point where its contradiction be producted a cause. The special point of view which this study had searched for, indicates this recurring structure, accordingly if someone were watch it through this viewer, he must be forget the origins which was made this viewer. Therefore, if we want to read productively the text named a classic, we must not start to read it at a point of utterance, and must start to read it at a point from where the utterance was birthed.

목차

Ⅰ. 「광장」, 고전이라는 문제 설정
Ⅱ. 타고르호―시점(perspective)의 탄생
Ⅲ. 기원의 말소―‘근대화론’
Ⅳ. 광장 의 문제틀―탈식민화의 길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박훈하(Bak, Hun-Ha). (2008).광장과 밀실의 이원적 상상, 그 가능성과 한계. 한국문학논총, 50 , 445-469

MLA

박훈하(Bak, Hun-Ha). "광장과 밀실의 이원적 상상, 그 가능성과 한계." 한국문학논총, 50.(2008): 445-469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