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한ㆍ중ㆍ일 文言短篇集 속 요괴와 귀신의 존재양상과 귀신담론 - 『天倪錄』, 『聊齋志異』, 『夜窓鬼談』을 대상으로

이용수 1924

영문명
The Study on existence and theory of ‘Gui-Shin’ in selection of short stories written in classical Chinese Language of Korea, China and Japan
발행기관
대동한문학회
저자명
김정숙(Kim Jeong-Suk)
간행물 정보
『대동한문학』大東漢文學 第28輯, 327~352쪽, 전체 26쪽
주제분류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08.06.30
5,9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성리학의 이념 하에서 자연철학적 귀신의 개념과 조선시대 실제 삶 속의 귀신관념은 서로 충돌하여 때로 정치적 이유로, 사상적 이유로 조선에서 귀신은 문제적 존재였다. 그러나 인격적 존재로서의 귀신은 종종 문학적 소재로 등장하곤 했는데 우암의 문인이었던 임방의 〈천예록〉은 조선후기 문언단편집으로서 전체의 반 이상이 귀신담과 관련된다. 그중 많은 것이 제사와 관련된 귀신담으로 제사를 통해 만난 귀신을 통해 제사의 중요성, 장지 선택의 중요성을 역설하는 내용이 주를 이룬다. 또한 무당이나 마마신, 관왕묘 등 무속적 귀신에 대해 그 존재를 인정하는 태도를 보이는데 이는 귀신이나 奇異를 인정했던 우암과 그의 영향을 받았던 임방의 유연한 귀신관에서 기인한다.
  〈요재지이〉에서 귀신담은 서사적 흥미뿐만 아니라 다양한 의미를 함축하고 있는데 대표적인 것이 불합리한 현실을 비판하는 도구로서의 귀신담과 강한 성적 욕망의 투사로서의 귀신담이다. 전자는 〈요재지이〉가 포송령의 처지에서 기인하는 孤憤之書의 의미를 지닌다는 것이며 후자는 〈수신기〉 이래로 귀신과의 성적 결합을 소재로 하는 중국 문학적 전통의 영향과 작가의 억압된 욕망의 분출에 의한 것으로 해석된다.
  〈야창귀담〉 속 요괴와 귀신은 앞의 두 작품에 비해 매우 구체적이며 기괴한 모습을 지니는데 이는 에도시대 이후 출판물의 발달과 연극 등 예능의 성행으로 인해 귀신이 가시화된 문화적 배경에 기인한다. 작가 이시카와 고사이는 근대의 한문학자로서 전래의 귀신담을 수록하되 귀신에 대해 객관적인 태도를 취하였다. 특히 〈귀신설〉과 〈귀자해〉를 통해 귀신을 객관화하고 체계화하려는 태도를 보였다.

영문 초록

  Under an ideology of Sung Confucianism, the concept of Gui-Shin in the natural philosophy and the conceptof Gui-Shin in real life of the Joseon Dynasty collided with each other. Thus, Gui-Shin was the issued existence in the Joseon Dynasty because of political and ideological reason. However, Gui-Shin as a personal existence was often utilized as a literary matter. 〈Cheon-Ye-Rok〉 by Imbang, a pupil of Uam Song, Si Yeol, is a selection of short stories written in classical Chinese language in the latter term of the Joseon Dynasty and more than a half of its contents is related with Gui-Shin story. Many parts out of the Gui-Shin story are related with ancestral rites and show importance of ancestral rites and burial place’s selection through Gui-Shin seeing in ancestral rites for the most part. Also, it has an attitude to recognize existence of shamanist custom’s Gui-Shin as Mudang, Mamashin and Gwanwangmyo. Such an attitude is caused by a flexible Gui-Shin view of Uam recognizing Gui-Shin or mysteriousness and Imbang getting an influence from Uam.
  Gui-Shin stories in 〈Yojaejiee〉 imply various meanings as well asdescriptive interest. Representative things out of them are a Gui-Shin story as a means to criticize an unreasonable reality and a Gui-Shin story as a means to show strong sexual desire. The former has a meaning of Gobunjiseo (孤憤之書) which 〈Yojaejiee〉 is caused by Posongryeong’s position and the latter got an influence from Chinese literary tradition with sexual combination with Gui-Shin as its subject matter since 〈Sushingi〉 and is analyzed to expose the writer’s suppressed desire.
  Monsters and Gui-Shin in 〈Yachangguidam〉 has more concrete and strange features than those in the above two works. It is caused by cultural backgroundwhich people made Gui-Shin visible by publications’ development and artistic accomplishments’ prevalence as play and more after the Edo age. A writer Isikawa Gosai kept an objective attitude about Gui-Shin though he collected traditional Gui-Shin stories as a modern scholar of Chinese literature. Specially, he had an attitude to objectify and systematize Gui-Shin through 〈Gui-Shin Theory 鬼神說〉 and 〈Gui-Shin Analysis 鬼字解〉.

목차

국문초록
1. 서론
2. 본론
3.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정숙(Kim Jeong-Suk). (2008).한ㆍ중ㆍ일 文言短篇集 속 요괴와 귀신의 존재양상과 귀신담론 - 『天倪錄』, 『聊齋志異』, 『夜窓鬼談』을 대상으로. 대동한문학, 28 , 327-352

MLA

김정숙(Kim Jeong-Suk). "한ㆍ중ㆍ일 文言短篇集 속 요괴와 귀신의 존재양상과 귀신담론 - 『天倪錄』, 『聊齋志異』, 『夜窓鬼談』을 대상으로." 대동한문학, 28.(2008): 327-352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