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退溪詩에 나타난 書堂과 書院 心象의 존재 양상

이용수 185

영문명
A study on the image of Seodang and Seowon in Taegye’s poetry
발행기관
대동한문학회
저자명
전재강(Jeon Jae-gang)
간행물 정보
『대동한문학』大東漢文學 第28輯, 239~269쪽, 전체 31쪽
주제분류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08.06.30
6,5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필자는 서당이나 서원의 심상이 퇴계 시에 어떻게 투영되어 있는지를 밝혀 보고자 이 논문을 작성했다. 퇴계시에서 서당은 시적 자아의 일상생활과 학문의 공간적 심상으로 나타났다. 그의 시에는 서당을 둘러싼 인공적 자연적 공간이나 사물을 대상으로 펼쳐진 생동감 있는 사적 일상과 진지한 학문탐구라는 현재의 삶이 표현됐는데 일상과 관련하여 시적 자아는 새로운 장소를 찾거나 유람하는 행위, 그 과정에서 얻은 정서를 표현하기도 하고, 찾아 간 장소를 낭만적 공간으로 상상하며, 서당에서 사람을 만나는 기쁨과 같은 일상을 표현하기도 하였다. 私的 空間에서의 행동과 정서는 시각적, 청각적, 후각적 심상과 같은 구체적 감각적 심상으로 표현했고 그런 여러 심상들이 모여 시적 자아가 살아가는 현재 삶의 일상적 공간으로서의 서당 심상을 만들었다는 것을 밝혔다.
  학문 탐구와 관련하여 시적 자아는 유교의 모범적 인물을 내용으로 읊거나 그들이 앞서 제시했던 학문을 스스로 실천하며 사물을 유교적 이념으로 해석하는 등의 내용을 작품에 표현했다. 이때 서당은 일상적 공간이 아니라 학문적 공간으로 전환되었다. 작가는 학문하는 선대 인물을 원용하거나 스스로 학문을 연마하거나 사물의 관념적 인식을 전고의 심상 또는 추상적 심상으로 나타냈다. 그리고 서당을 읊은 작품에서 시적 자아가 자신의 일상과 정서, 학문적 수련을 남에게 권유하고 가르치기보다는 이를 표현하는 자체에 자족함으로써 작가가 문학의 자기 표현적 기능을 인식하고 문학 활동을 했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그리고 서원을 제재로 하는 작품에서 퇴계는 서원을 尊賢과 講道, 養士의 과업을 수행하는 곳으로 인식함으로써 서원을 과거와 현재, 미래를 잇는 시간적 심상으로 그렸다고 보았다. 존현을 내용으로 하는 작품의 경우 성리학적 성향이 강한 인물을 주로 존현의 대상으로 제시하여 구체적 심상을 동원하지 않았는데 전고 인물을 제시하여 전고적 심상을 주로 사용했다. 과거 인물을 회고하고 높이는 행위를 중심 과제로 삼은 서원이라는 공간은 과거를 현재와 연결하는 시간적 심상으로 기능하였다.
  강도와 양사를 내용으로 하는 작품의 경우 서원에 대한 당시 사회의 비난과 그릇된 학문의 풍토, 이상적 학문이 일어나는 모습을 때로는 직설적으로 때로는 비유적 심상을 통하여 읊었다. 여기서 강도, 양사의 장소로서 서원은 사회가 긍정하는, 올바른 학문의 풍토가 확립된 미래를 만들어가는 매개자로 인식되어 현재를 미래로 연속하게 하는 시간적 심상으로 자리 잡았다. 과거에서 현재, 미래로 흐르는 시간적 심상으로 서원이 그려진 이유가 바로 여기에 있다고 보았다. 그리고 시적 자아의 입장 역시 사적 공간인 서당과는 달리 유교 사회 일반의 존현 문제, 당대의 그릇된 학문 풍토라는 객관 현안을 시적 자아가 제자나 타인에게 교시를 목적으로 제시하였다. 이는 퇴계도 조선 시대 일반 유자들과 마찬가지로 문학의 효용론적 기능을 이해하고 문학에 활용하고 있었다는 것을 확인시켜주는 증좌가 된다는 점을 확인했다.
  서당 관련 시와 서원 관련 시는 상호 긴밀한 연관을 맺고 있는데 이는 서당에서 얻은 휴식과 학문이 서원에서의 공적 교육과 정치 참여의 원동력으로 작용하고, 정치참여와 서원 교육은 새로운 휴식과 학문을 위한 서당으로의 회귀를 요구하는 것이었기 때문이다. 두 유형의 이런 특성을 더 깊이 규명하기 위해서는 그의 서당, 서원 관련 시가 실제 그 전체 문학에서 어떤 지위를 차지하는지를 연구할 필요가 있다. 이는 교육 관련 퇴계시의 성격을 보다 분명하게 규명하고 퇴계시의 전체 특성을 더 명확하게 읽기 위해서이다.

영문 초록

  I studied on the image of Seodang and Seowon in Taegye’s poetry. I found out several facts about Taegye’s poetry by this research. First, Seodang was represented by persona as space image of daily life activities and studies. In daily life, Seodang and places around Seodang were used for strolling, welcoming spring season, enjoying watching flowers. Persona expressed these activities and emotions through some specific images, for example visual image, acoustic image, smelling image etc.
  In studies, The main contents of Taegye’s poetry are typical Confucian classic scholar, practicing or studying Confucianism, finding out the new meaning out of nature thing. In this case Seodang was functioned as study space. Taegye didn’t make any specific images in expressing Confucian activities. In the group of these kind of Taegye’s poetry, Taegye self-joyfully expressed his the activities of daily life and studying for himself.
  Secondly, Seowon was represented by persona as time image of honoring Confucian sage, studying Confucianism, teaching disciples. In the poetry of honoring Confucian sage, Taegye only made abstract images. But in wholesome Seowon made itself the time image. Because the honoring Confucian sage connected with his time.
  In the case of studying Confucianism, teaching disciples, Taegye sometimes made metaphorical images. But in wholesome Seowon made itself the time image. Because the activities of studying Confucianism and teaching disciples connected with future time. In conclusion, the activities of honoring Confucian sage, studying Confucianism, teaching disciples connected the time of the past and the time of the present and the time of the future together so that made Seowon the image of time in Taegye’s poetry.

목차

국문초록
1. 서론
2. 일상과 학문의 공간적 서당 심상
3. 尊賢과 養士의 시간적 서원 심상
4.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전재강(Jeon Jae-gang). (2008).退溪詩에 나타난 書堂과 書院 心象의 존재 양상. 대동한문학, 28 , 239-269

MLA

전재강(Jeon Jae-gang). "退溪詩에 나타난 書堂과 書院 心象의 존재 양상." 대동한문학, 28.(2008): 239-269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