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朝鮮後期 漢文學의 崇雅ㆍ貶俗 意識

이용수 101

영문명
A Study on the thought Sunga(崇雅)ㆍPyeomsok(貶俗) in the Chinese literature in the late Joseon Dynasty period
발행기관
동양한문학회(구 부산한문학회)
저자명
임명호(Im Myeong-ho)
간행물 정보
『동양한문학연구』東洋漢文學硏究 第26輯, 321~351쪽, 전체 31쪽
주제분류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08.02.28
6,5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조선시대의 문인들은 문어로 표현해내는 능력을 습득하여 자기의 느낌이나 생각을 글로 나타냈다. 이들은 정치적ㆍ사회적 교유 속에서, 지은 글이 ‘雅하다’ 또는 ‘俗되다’는 평가를 받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여러 문집 속에 빈번히 등장하는 雅와 倚의 의미가 무엇인지를 살펴볼 필요가 있다.
  雅는 원래 신분제도를 기초로 하는 정치의식 속에서 연원한다. 지배층은 자신들의 문화를 ‘雅하다’고 여겼는데, 雅는 ‘바르다’, ‘표준이다’라는 의미를 가지고 있다. 지배층이 느낀 俗은 피지배층의 문화적 인식이 ‘부족하다’, ‘교화의 대상이 된다’는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이런 정치적 雅俗觀은 점차 문학 속에도 접목되어 발전하기 시작한다. 문학 속의 雅는 ‘바르다’를 俗은 ‘부족하다’ 또는 ‘격이 낮다’는 의미를 가지고 있다. 중국의 崇雅ㆍ貶俗觀은 고려시대를 거쳐 조선시대에 이르면서 비평에 자주 언급된다.
  雅한 문장은 높이고 俗된 문장은 낮추는 崇雅ㆍ貶俗의 전통은 조선시대에 큰 영향을 미쳤다. 문인들이 문장을 ‘雅하다’고 주장하는 논거는 여러 가지 용어를 등장시켜 ‘雅하다’고 하는데, 본고는 典古ㆍ眞言ㆍ簡約을 중심으로 기술한다. 문장이 ‘俗되다’고 주장하는 논거는 여러 용어 가운데 不經ㆍ陳言ㆍ鄙俚를 중심으로 기술하기로 한다.
  典古는 내용상 경전의 정신을 지향하고 형식상 경전방식의 글을 쓴 경우의 평어이다. 眞言은 남의 글을 모방하지 않고 자신의 생각을 표현한 글의 평어이다. 簡約은 글의 내용을 전개할 때 군더더기가 없이 명료하게 전달한 경우의 평어이다. 不經은 경전이 지향하는 정신이 아닌 내용과 표현법으로 지은 글의 평어이다. 陳言은 자기의 생각을 제대로 표현하지 못하고 남이 쓴 글을 인용했을 때의 평어이다. 鄙俚는 하층민이 쓰는 용어나 구어성의 격식이 낮은 언어를 구사하는 경우의 평어이다.
  조선 후기는 숭아ㆍ폄속의 전통 속에서도 그동안 속되다고 인식되던 문학도 일부 지식인에 의해 수정되는 결과도 나온다.

영문 초록

  The scholars of the Joseon Dynasty period learned how to express their feelings and thoughts in the literary language and wrote in the literary language. Their writings were often evaluated by the expression "It"s right[A(雅)]" or "It"s insufficient [Sok(俗)]" in the political or social associations. Therefore I studied what the meanings of "A" and "Sok" were in the old Chinese literature in this paper.
  "A" was originated in the political thought which is based on the class distinction. The ruling class thought their culture was "A", which meant "right" or "standard" Otherwise they thought the culture of the lower class was "insufficient" and they had to be educated The political thought of "A" and "Sok" began to develop gradually in the literature, too. In the literature "A" meant "right" and "Sok" meant "insufficient" or "a lower rank."
  The thought of SungahㆍPyeomsok in China was mentioned frequently in the critical writings of the Joseon Dynasty period passing the Goryeo period. The thought that the "right[A]" writing has a high value, but the "insufficient[Sok]" writing has a low value, had much influence upon the Chinese literature of the Joseon Dynasty period. When scholars judge a writing "right", they used some words as the criterion, In this paper my study focused the words "Jeongo"(典古), "Jineon"(眞言), and "Ganyak"(簡約). The criterion of the judgement that the writing is "insufficient" had some words, too, and I focused the words "Bulgyung"(不經), "Jineon"(陳言), and "Biri"(鄙俚) here.
  Despite the tradition of the thought SungahㆍPyeomsok, some writings which had been regarded "insufficient" were accepted by some scholars in the late Joseon Dynasty period.

목차

국문초록
Ⅰ. 序論
Ⅱ. 崇雅 意識
Ⅲ. 貶俗 意識
Ⅳ. 結論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임명호(Im Myeong-ho). (2008).朝鮮後期 漢文學의 崇雅ㆍ貶俗 意識. 동양한문학연구, 26 , 321-351

MLA

임명호(Im Myeong-ho). "朝鮮後期 漢文學의 崇雅ㆍ貶俗 意識." 동양한문학연구, 26.(2008): 321-351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