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谿谷 張維의 記文 硏究

이용수 419

영문명
A study on Gegog, Jang Yu’s Ki writings
발행기관
대동한문학회
저자명
조정윤(Cho Jeong Yun)
간행물 정보
『대동한문학』大東漢文學 第27輯, 299~333쪽, 전체 35쪽
주제분류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07.12.30
7,0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고는 谿谷 張維(1587~1638)의 記文 전체를 개관하고 주요 작품들에 대한 분석을 진행해 봄으로써, 장유 산문의 구체적 양상과 특징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 것이다. 모두 19편인 그의 기문은 私堂 또는 公?를 대상으로 창작한 樓亭記가 주를 이루는 한편, 산수자연을 유람하고 그 행로의 견문과 감상을 기록한 山水遊記는 전혀 없다. 창작시기상 비교적 이른 시기에 해당하는 안산 寓居 시절의 작품들은 대부분 私堂을 대상으로 한 작품들로, 堂號의 의미 풀이를 주요 내용으로 삼고 있는데, 이때 당시 서인계로서 작자와 堂主가 처했던 상호 불우한 처지에 대한 同質意識이나 憐憫ㆍ慰勞의 감정들이 함께 표현된다. 그런가 하면 인조반정 이후 환로기에 지어진 기문 중에는 公?를 대상으로 한 작품들도 다수 차지하는데, 이들 작품들은 애민의식을 바탕으로 한 政事에서의 교화적 내용을 기술하고 있어 위정자로써의 면모를 살필 수 있게 한다.
  장유 기문의 두드러진 특징은 일반적 기문의 양식적 특성인 ‘記事’보다는, 堂號의 의미 풀이와 관련해서 儒家的 이치 혹은 가치를 추구하거나 자신의 다양한 철학적 사유를 입론하는 방식의 ‘議論’에 치중하고 있다는 점을 들 수 있다. 〈蜃樓記〉의 경우 『莊子』를 연원으로 하는 寓言 및 『孟子』ㆍ『戰國策』과 같은 先秦散文에서 나타나는 論爭的 問答 형식을 활용하여 虛幻과 實在의 문제, 즉 시ㆍ공간의 무한성에 대한 인간과 만물의 유한성에 대한 문제를 상대주의적 사유에 입각하여 의론화 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神明舍記〉는 寓言적 방식을 활용하여 사람들이 이해하기 어려운 ‘心’과 ‘明德’의 이치를 보다 이해하기 쉽게 풀어내고 있는 작품이다. 이 밖에 私堂을 대상으로 하여 堂號의 의미에 관한 의론을 주요 내용으로 하는 다수의 기문들은 堂과 堂號, 堂號와 堂主간에 名實相符함을 밝히는데 역점을 두고 있으며, 이를 위해 堂號에 대한 의론과 堂主에 대한 서술부분이 서로 조응하도록 구성하고 있음을 살필 수 있다. 또한 이들 작품에서 堂號 및 堂主와 관련해서 빈번하게 강조하고 있는 주제는 바로 君子의 修養과 같은 儒家的 道임이 확인된다.

영문 초록

  This paper was focused on aspects of discussion and characteristics of Ki writings that Gegog, Jang Yu (1587~1638), who was one of Hanmoonsadaegas in the middle of Chosun, wrote.
  As a result of a general survey of his Ki writings, in the first place, the main current was writings (樓亭記) about a personal house and its name by private asking. On the other hand, there was no writing about travels about landscape (山水遊記). According to the division by creation time and object, the majority of the literary works in the days when he was in Ansan were about a personal house. The same consciousness or feelings of pity and comfort between the author and the owner of the house in adverse circumstance flowed in the base of his works. On the other hand, the literary works in the aged days after enthronement of Incho described an educational subject in the governmental affairs and public morals of people related to a government building. An aspect of a politician was also visible in his works. However, the most important characteristic in Gegog, Jang Yu’ Ki writings was to lay stress upon discussion setting up a philosophical idea and thinking and clarify a confucian reason associated with meaning or interpretation of a name of a personal house, not to record a fact.
  Examining closely aspects of discussion through analyses of his works, in case of Shinru Ki (蜃樓記), it was confirmed that a problem on existence and non-existence was discussed by making use of the form of controversy questions and answers, which came out in prose before Jin as “Maengja (孟子)” and “Jeonggugchaek (戰國策)”, which originated from “Jangja (莊子)”. In other words, a problem on finiteness of a man and all nature for infiniteness of time and space was discussed, which was based on relative thinking. “Shinmyungsa Ki (神明舍記)” was a writing, which was comprehensively and easily solving a difficult reason of “Shim (心)” and “Myungduk (明德)” by using an allegory form
  In addition, many Ki writings including discussion on meaning of a name of a personal house was focused on making it clear to be true to the name between a house and its name, its name and its owner. They consisted of discussion on the name of a personal house and the corresponding description of the owner of it. In this point, a theme Jang-yu emphasized in several works associated with the name of a personal house was the very confucian morality

목차

국문초록
1. 머리말
2. 張維 記文의 槪觀
3. 張維 記文의 分析
4.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조정윤(Cho Jeong Yun). (2007).谿谷 張維의 記文 硏究. 대동한문학, 27 , 299-333

MLA

조정윤(Cho Jeong Yun). "谿谷 張維의 記文 硏究." 대동한문학, 27.(2007): 299-333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