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출판문화 안에서의 의사소통과 미디어 융합의 상관관계

이용수 342

영문명
Correlation between Communication and Media Convergence within Publication Culture
발행기관
한국출판학회
저자명
조도현(Jo Do-Hyun)
간행물 정보
『한국출판학연구』통권 제53호, 317~346쪽, 전체 30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신문방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07.12.30
무료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전통적 미디어 시절에는 전송수단과 표현수단의 상호교차가 불가능했기 때문에 책과 신문은‘출판’이라는 전송수단을 통해서, 라디오와 텔레비전은‘방송’이라는 전송수단을 통해서만 메시지 전달이 가능했다. 그러나 통신 인프라의 발전, 특히 인터넷이라는 전송수단은 대부분의 표현수단과 연결될 수 있음을 의미함으로써 전통적 미디어 시절 전송수단과 표현수단의 독점적이고 폐쇄적인 관계는 무너졌다고 할 수 있다.
  미디어의 변화에 내재하는 구술성과 감각의 확장으로서 미디어의 인간화와 동시에 주체와 객체의 융합으로 이루어지는 향후 미디어의 발전 방향을 확인할 수 있다. 예를들어, 이메일이나 채팅은 비록 그것이 문자라 하더라도 구술적인 요소를 듬뿍 함유하고 있다. 그것이 일상적인 대화체 형식을 취하고 있는 것도 그러하지만 철자법이나 기술문법을 무시하고 발음나는대로 적거나 이모티콘으로 초언어적인 동작이나 표정을 흉내내거나 하는 것이 구술어법을 그대로 닮아 있는 것이다. 그리고 채팅 같은 경우는 쌍방향 통신성과 의사현장성 등과 같은 구술발화 상황까지 구비하고 있음으로써 구술성을 더욱 증폭시키고 있다.
  즉, 디지털 언어는 문자로만 쓰여졌으나, 현재에는 이미‘느끼는 문자’에서 문자의 사용 비중이 상대적으로 작아졌다. 그러나 전달하고자하는 정보의 종류에 따라 사용해야할 적절한 수단이 다른 것처럼, 앞으로 더욱 기술적 지원이 있어‘느끼는 문자’가 발전하고 변모하게 되더라도 문자는 계속해서 다른 요소들과 상보적으로 사용되고 공존할 것이다.
  그러나 서양 근대사상을 지배한 이성중시 사상은‘의미분화’와‘이항대립’을 통해 의사소통 구조를 주체와 객체로의 분리를 고착화 하였다. 이에 비해 데리다는 언어를 구성하는 기표와 기의의 관계는 순전히 자의적이고, 비동기적인 관계로서 파악했다. 결국 의미란 주체와 객체의 안정적이고, 지시적 관계에서 생산되는 것이 아니라 기표의 무한한 상호텍스트적 논리 속에서 생산되고, 의미란 의미작용의 끝없는 과정상의 한 계기에 불과하며, 이런 과정을‘전자글쓰기’라는 표현을 통해 구현해 보고자 했다.
  따라서, 미디어가 융합되는 멀티미디어 시대의 도래로 출판문화 안에서는 종이출판과 인터넷출판의 상호보완관계가 정착되는 경우, 모든 정보는 컨텐츠화 될 수 있고, 전자 미디어는 단순히 종이 책을 컴퓨터 모니터 스크린을 통해 읽는 수준이 아니라 실시간으로 독자가 원하는 대로 편집해 볼 수 있다. 또한 휴대폰의 편의성과 마찬가지로 간편하게 휴대할 수 있고 어느 때 어느 장소에서도 수용할 수 있는 PMP, 상대방의 얼굴을 보면서 통화할 수 있는 휴대용 인터넷 화상전화는 이제 전자신문과 전자잡지, 텔레비전과 영화의 수용뿐만 아니라 e-book도 수용이 가능한 휴대용 인터넷 단말기의 기능을 갖게 된다. 따라서 출판물은 종이출판과 인터넷출판과의 공존과 차별화를 의미하는“퓨전출판”으로 디지털화된 콘텐츠로서의 교환가치를 회복할 수 있어야 한다.

영문 초록

  In the age of conventional media, books and newspapers could deliver their messages through the medium of "publication", whereas radio and television utilized "broadcasting" as their medium, as crossover between media and expression was impossible during this era. However, the advancement of communication infrastructure and of the Internet as a medium, in particular, meant that it could be connected to almost all means of expression, thereby breaking down the exclusive and closed relationship between media and expression of the age of traditional media.
  Humanization of media as an extension of orality and senses inherent in the changes of media, as well as the future direction of media"s development comprised of convergence between the subject and the object can be verified. For instance, while email and chatting are texts, they are richly embedded with elements of orality, not only in that they take the form of routine conversations but also in that they disregard spelling or grammar, which results in texts written as pronounced and their mimicking of super-linguistic motions and expressions with the use of emoticons resemble practices of oral communication. And in the case of chatting, it entails situations of oral utterances such as interactive communication and relevance of intention, which in turn further enhances orality.
  In other words, while the digital language was used only as text, the use of text today in the "text that feels" has already lost its relative proportion. However, as the optimal medium varies depending on the type of information to be delivered, text will continue to be used in conjunction and coexist with other elements even when the "text that feels" develops and evolves.
  However, rationalism, which dominated modern ideas of the West, made the division of the subject and the object permanent through "diversification of meaning" and "binary opposition". Meanwhile, Derrida saw the relationship between signifiant and signifie, which comprise a language, to be a purely arbitrary and asynchronous one. In the end, meaning is not produced by a stable and indicative relationship between  the subject and the object but by infinite inter-text logic of signifiant, and it is merely a part of an endless process of signification, and the paper attempted to implement this process through expression of "electronic writing".
  As such, if the advent of the multimedia age with converged media helps lay a firm foundation for a mutually complementary relationship between paper publication and online publication, every information can be made contents while readers can even edit the electronic media on a real-time basis rather than simply reading paper books via a computer screen. In addition, PMP, which can be accepted anytime, anywhere, with excellent portability of a mobile phone, and mobile internet video phone which lets a caller talk on the phone while seeing the face of the person on the other side, can now function as a mobile internet handset that can receive everything from electronic newspapers, magazines, TV programs, movies to even e-books. Therefore, publication materials must recover their value in exchange as digitalized contents with "fusion publication", which refers to coexistence and differentiation amongst paper publication and online publication.

목차

Ⅰ. 서론
Ⅱ. 의사소통 구조의 인식
Ⅲ. 디지털 출판미디어의 구술성
Ⅳ. 미디어 융합과 의사소통
Ⅴ. 결론
참고 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조도현(Jo Do-Hyun). (2007).출판문화 안에서의 의사소통과 미디어 융합의 상관관계. 한국출판학연구, , 317-346

MLA

조도현(Jo Do-Hyun). "출판문화 안에서의 의사소통과 미디어 융합의 상관관계." 한국출판학연구, .(2007): 317-346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