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해양법협약상 한ㆍ일간 EEZ 경계획정의 기점으로서 독도

이용수 299

영문명
The legal status of Dokdo Island with emphasis on EEZ Delimitation in the Between Korea and Japan Under United Nations Convention on the Law of the Sea
발행기관
한국해사법학회
저자명
김태운(Tae-Woon Kim)
간행물 정보
『해사법연구』海事法硏究 第19卷 第1號, 25~46쪽, 전체 22쪽
주제분류
법학 > 법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07.03.30
무료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해양법협약상 배타적 경제수역의 경계를 획정함에 있어서 인접국이거나 대항국간에 섬이 존재할 때 그 섬의 지위를 어떻게 부여하느냐에 따라 경계획정의 관할수역이 크게 좌우될 수밖에 없다. 특히 한ㆍ일간에는 독도문제라는 영유권 대립과 오랜 역사적 관계 등으로 국제법과 원칙보다도 정서적인 민족 감정에 이끌려서 쉽게 타결될 수 없는 상황이며, 자국의 이기적이고 배타적인 논리로 국제법의 일반원칙인 상호주의 원칙이 무시되는 경우가 있는 것도 사실이다. 또한 동북아시아 지역에는 이러한 해양 분쟁을 국제법의 원칙에 따라 원만하게 해결해 나갈 제도적 장치나 메카니즘도 없는 실정이다. 특히 독도문제는 한ㆍ일간의 역사적 권원에서부터 대립하고 한ㆍ일기본조약체결시에도 이 문제에 관해서는 비밀협약으로 체결할 정도로 양국간에 첨예한 대립이 제기되고 있는 실정이다. 한ㆍ일간의 배타적 경제수역의 획정에서 독도를 기점으로 양국이 서로 주장하는 입장에서 결국은 이 독도문제가 해결되지 않으면 배타적 경제수역의 획정도 합의점을 찾기가 어려운 실정이다. 따라서 해양법협약 제121조 3항의 해석상 독도의 국제법적 지위를 충족하기 위한 우리나라의 노력과 일본ㆍ중국의 국가관행들을 고려하여 향후 일본국과 배타적 경제수역 획정을 위한 협약 체결시 독도의 법적 지위를 충분히 숙지하고 독도를 배타적 경제수역의 기점으로 활용할 수 있는 이론을 제시한다.

영문 초록

  The legal status of Islands with emphasis on EEZ Delimitation in the United Nations Convention on the Law of the Sea has some particularly difficult disputes. In Northeast Asia, disputes over EEZ Delimitation is almost unique for its lack of regional institution. Here bilateralism dominates both political and economic relations. Indeed, Northeast Asia is remarkable for its combination of several quite highly industrialized societies. China and Japan have led the way in developing a conflict avoidance regime for the East China Sea where the two have extensive overlapping claims. The current regime includes a joint regulations and fishing zone. The next step should be a regime regarding the use of force and military and intelligence-gathering activities in the EEZ. This article reviews the progress made in building this conflict avoidance and disputes involving islands affected on the delimitation of adherent maritime space; and, a dispute over the allocation of maritime spaces to islands.
  I will seek to give an overview of islands and the capacity of islands to generate maritime zones. Paragraph 3 of Article 121 of the United Nations Convention on the Law of the Sea limits the legal entitlement of islands to maritime space by providing that : Rocks which cannot sustain human habitation or economic life of their own shall have no exclusive economic zone or continental shelf.
  But the meaning of rocks and the qualifying phrase that they cannot sustain human habitation or economic life of their own is not further defined in the United Nations Convention on the Law of the Sea.
  I define meaning what constitutes a rock as a form of an island and what is meant by cannot sustain human habitation or economic life of their own. Finally, I appraised that legal implications and application of Article 121(3) of the Law of the Sea Convention in delineating EEZ Boundary Line between Korea and Japan in the Eastern Sea. Especially, I should have delimitated involving Dokdo(Dok Island) which may have on the delimitation of adjacent maritime spaces.

목차

국문초록
Abstract
Ⅰ. 서론
Ⅱ. 독도의 영토적 권원
Ⅲ. 독도기점의 EEZ
Ⅳ. EEZ획정 관련 중ㆍ일간의 도서 분쟁
Ⅴ.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태운(Tae-Woon Kim). (2007).해양법협약상 한ㆍ일간 EEZ 경계획정의 기점으로서 독도. 해사법연구, 19 (1), 25-46

MLA

김태운(Tae-Woon Kim). "해양법협약상 한ㆍ일간 EEZ 경계획정의 기점으로서 독도." 해사법연구, 19.1(2007): 25-46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