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미적 근대성과 언어
이용수 61
- 영문명
- Aesthetic modernity and Language
- 발행기관
- 어문연구학회
- 저자명
- 여태천(Tae-Chon Yeo)
- 간행물 정보
- 『어문연구』語文硏究 第53輯, 357~388쪽, 전체 32쪽
- 주제분류
-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7.04.30
6,6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is article looks around the language as historical condition which provided the modern subject in forming of modern literature. And this article recomposes the connection which is made a description of aesthetic modernity in literary history, or to record it again with language. The language as historical condition allows us to know the entity of aesthetic modernity. Actually, our modern literature limitations are apparent. Nevertheless we don’t have to overlook literary men’s efforts with the language in 1910’s ~1920’s. Especially we have to look at aesthetic modernity in a field of language. This article searches how a language which expressed emotions and represented an idea is transformed into a purity language which took aim at itself. Aesthetic modernity and the modern subject are realized in text-contents of 1920’s poem and other works. But from a linguistic point of view, a form of presentation is not actualized to the autonomous state. Aesthetic modernity is absolutely not a question of ideal-literature. It is a question of language which relates with the attitude of the subject. In the end, when we will have an understanding mother language as not a everyday language but a literary language, we could discussed the unification of the written and spoken language or aesthetic modernity.
목차
1. 미적 근대, 언어, 해석
2. 감정과 근대적 주체의 탄생
3. 생활과 언어의 일치
4. 생활의 언어에서 문학의 언어로
5. 해석의 출발
참고문헌
Abstract
2. 감정과 근대적 주체의 탄생
3. 생활과 언어의 일치
4. 생활의 언어에서 문학의 언어로
5. 해석의 출발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佛敎敍事의 作話方式과 傳奇小說의 相關性(Ⅰ) - 초기 불교서사의 작화방식를 중심으로
- 삼생옥초화젼과 우리 민속
- 드라마 〈대장금〉에 나타난 영웅서사의 현대적 변용
- 印千江之曲의 底經과 사상적 기반
- 미적 근대성과 언어
- 『진본 청구영언(靑丘永言)』 무명씨(無名氏)에 대한 고찰
- 시조 생략종결의 기능 일면 - 생략된 동형 문장성분들의 중의와 수용자의 관계를 중심으로
- 恕菴 申靖夏의 詩評에 대하여
- 1920년대 서구 전래동화의 번역과 번역 주체의 욕망 - 『東明』에 소개된 그림동화를 중심으로
- 구급방류 의서의 구문 연구 - 처방과 관련된 구문을 중심으로
- 〈김희경전〉의 이본 계열과 텍스트 확정
- 대학 글쓰기 교육을 위한 예비적 고찰
- 고전소설의 해몽 수용양상과 활용기법
- 語文硏究 편집 및 심사규정 외
- 한국어 교육에서의 문장 구조와 문형 학습
- 現代國語 連結語尾 {-느라(고)}의 特性
- ‘씩’의 범주와 의미
- 〈원자실전〉의 전기소설적 성격과 의미
참고문헌
관련논문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분야 BEST
- ‘밈(meme)’을 활용한 고전문학과 문화콘텐츠의 상호 협력과 융복합교육
- 연구 동향 분석을 통해 본 학문 목적 한국어교육 연구의 실태와 제언
- 갈등과 탐구의 고전문학 교육 방법론 연구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분야 NEW
- 한국어교육 36권 1호 목차
- 보호된 내용 수업을 적용한 전공 강의에 대한 외국인 유학생의 인식과 강의 개선 방안 연구 - 일반 전공 수업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 구·문어 DCT를 활용한 학업적 맥락에서의 한국어 요청 화행 수행 양상 연구 - 담화 환경에 따른 요청 전략과 표현을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