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박물관 관람객 경험 연구의 이론적 틀에 관한 비판적 고찰 -상호작용적 경험 모델을 중심으로-
이용수 0
- 영문명
- A Critical Study on the Theoretical Framework of Museum Visitor Experience Study -Focusing on the Interactive Experience Model-
- 발행기관
- 한국박물관학회
- 저자명
- 이우동 이진우
- 간행물 정보
- 『박물관학보』제48호, 119~143쪽, 전체 25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역사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12.31
5,8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박물관 관람객의 경험을 이해하기 위한 준거의 틀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에, 박물관의 개념과 관람객 경험, 그리고 상호작용적 경험 모델(Falk & Dierking, 1992)에 관하여 이론적으로 고찰하였다. 이후, 문헌 분석을 토대로 박물관 경험의 물리적, 사회적, 개인적 맥락과 연관되는 선행연구를 검토하였다. 박물관 관람객 경험의 총체적 분석을 위하여 본 연구는 부르디외 이론의 주요 개념과 관람객 경험의 관계성을 논의하였
다. 연구결과, 박물관의 물리적 맥락은 사회적 공간으로, 방문자의 개인적 및 사회적 맥락은 문화자본과 사회자본으로 이해될 수 있음을 보여준다. 또한, 본 연구는 각 맥락의 교차점을 계급, 취향 및 아비투스를 통해 설명하였다. 이를 기반으로 하여, 박물관 관람객의 경험을 문화적 실천으로 이해하기 위한 이론적 틀을 제시하였다. 이에, 본 논문의 학술적 의의는 개인이 사회적 환경을 통하여 취득할 수 있는 자본과 지위에 관한 논의와 박물관 경험을 관계지어 박물관 관람객 경험에 관한 해석의 틀을 제시한 것에 있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provide a theoretical framework for deepening our understanding about the experiences of museum visitors. To achieve this, a theoretical review of the concept of museum, visitor experience and the interactive experience model (Falk & Dierking, 1992) was conducted. Then, based on the document review, previous studies related to the physical, social and personal context of museum experiences was discussed. In order to analyse the holistic experience of museum visitors, this study discuss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oncepts of Bourdieu and the visitor experience. As a result, the findings show that while the physical context of the museum can be understood as a social space, the personal and social context of the visitor can be understood as cultural capital and social capital. Furthermore, it explained the crossing of each context through the concepts of class, taste and habitus. Based on this, a theoretical framework for understanding museum visitors' experiences as cultural practice is presented. By doing so, the theoretical implication of this article is to offer an analytic framework for visitors' museum experience by connecting it to the discussion of capitals and status accumulated from their social environment.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1. 박물관과 관람객 경험
2. 포크와 디어킹의 상호작용적 경험 모델
Ⅲ. 상호작용적 경험 모델의 보완적 이해
1. 물리적 맥락과 구성 요소
2. 사회적 맥락과 구성 요소
3. 개인적 맥락과 구성 요소
4. 세 가지 맥락의 교차점에 관한 논의
Ⅳ.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대중의 취향 개선’을 위한 교육적 실천 -19세기 중반 영국 장식박물관의 문명화 교육-
- 국내 국립박물관의 관람객 조사․연구의 시작과 변화 -서울지역 국립박물관 세 곳을 중심으로-
- 프랑스 국립 조형예술 센터(CNAP) 운영 법제의 역사적 흐름에 관한 연구
- 박물관의 품질-가치-충성 연쇄 모형을 기반으로 한 하이브리드 전시의 관람 경험에 관한 실증적 연구* -《활옷 만개滿開, 조선왕실 여성 혼례복》을 중심으로-
- 박물관 관람객 경험 연구의 이론적 틀에 관한 비판적 고찰 -상호작용적 경험 모델을 중심으로-
- 박물관의 지속가능성을 위한 관람객 중심 메타버스 전시 활용 연구
- (재)예술경영지원센터의 원로작가 디지털 아카이빙 지원사업 개선 방안 고찰
- 가상현실을 활용한 박물관의 지속가능성에 대한 체계적 문헌고찰
- “공감의 층위”와 “배려의 개념”으로 본 독립기념관 관람객 감정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인문학 > 역사학분야 BEST
더보기인문학 > 역사학분야 NEW
- 일본 고등학교 ‘역사총합’ 교과서 속한국 근대사 관련 서술 분석
- 각성제를 둘러싼 재일조선인 표상의 정치학 - 국회회의록과 신문 미디어 담론을 중심으로
- 제2차 세계대전 전시범죄와일본 책임에 대한 고찰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