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키에르케고어 후모르(Humor) 개념의 파라독스적 성격: 예술과 도덕의 종교 교육적 함의와 관련하여

이용수 0

영문명
The Paradoxical Nature of Kierkegaard’s Concept of Humor: the Religious-Educational Implications of Art and Morality
발행기관
한국도덕교육학회
저자명
박정원
간행물 정보
『도덕교육연구』도덕교육연구 제36권 제4호, 121~141쪽, 전체 21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4.12.31
5,3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키에르케고어는 인간 실존의 3가지를 미적, 윤리적, 종교적 단계로 규정하고 아이러니(Irony)와 후모르(Humor)를 상위 단계로의 도약의 계기로 표현한다. 그런데 웃음을 자아내는 희극적 용어인 후모르(Humor) 개념이 어떻게 윤리적 실존에서 종교적 실존으로 도약하는 계기가 되는가 하는 점은 해명이 필요하다. 후모르의 정체와 관련한 난점은 미적 실존이나 윤리적 실존이 종교적 실존과 단절적이지 않다는 점을 고려하면 더욱 증폭된다. 키에르케고어는 후모르를 보편과 개별, 주체로서의 개인과 세계의 대립과 합일을 가능하게 하는 파라독스적 경지로 본다. 후모르는 모순적인 것이 충돌하는 경계, 즉 한계의식을 일깨운다. 후모르는 유한자와 무한자가 서로 배타적으로 대립하는 것이 아니라 유한자 안에 존재하는 무한자의 힘이 유한자에게 자각된 상태를 의미한다. 후모르는 유한자가 무한자와 대면하며 스스로를 무화시키는 행위이다. 그러나 무화시키는 힘의 주체는 소멸되지 않고 새로운 창조를 통해 자신을 현상적으로 드러낸다. 그러므로 키에르케고어의 후모르 개념은 파라독스적 성격을 띤다. 후모르의 파라독스적 성격으로 인해 예술과 도덕은 종교교육적 의미를 품게 된다. 후모르가 반영된 미적 실존의 전형적 모습은 쉴러의 심성교육론에서 확인되며 후모르가 반영된 윤리적 실존의 전형적 모습은 이황의 정치철학에서 확인된다. 키에르케고어의 실존 3단계는 1회적인 것이 아니라 한 인간의 평생을 통해 순환적으로 계속되는 심성교육 과정이다.

영문 초록

Kierkegaard defines human existence as the three stages of aesthetic, ethical, religious. He dedicates irony and humor as an opportunity to implement them. However, it needs to be clarified how the concept of humor, a comical term that evokes laughter, can leap from ethical existence to religious existence. The difficulty about the concept of humor is further amplified in that aesthetic or ethical existence is connected with religious existence. Kierkegaard sees humor as a paradoxical state that enables confrontation and harmony between universality and individuality, self and world. Humor is the borderline where contradictions collide. It awakens consciousness of boundaries and limits. With it, we become aware that there is not an exclusive confrontation between a finite individual and an infinite being, but a state in which the power of an infinite being is revealed in a finite individual and made aware of itself. Humor is an individual’s acting as a finite person facing the infinite being and negating herself. However, the subject of the negating power does not vanish but rather manifests itself in the status quo with a new creature. Therefore, the paradox of Kierkegaard’s concept of humor has a clue to understanding the significance of religious-educational insights in art or morality. The typical example of aesthetic existence reflecting humor can be discovered in Schiller’s term, ‘Aesthetica’. And the typical example of ethical existence reflecting humor can be discovered in Lee Hwang’s Neo-Confucian philosophy. So Kierkegaard’s human three existential degrees are not an one-time process, but a series of disciplines in that mind-heart–personality cultivation continues cyclically throughout a whole human’s life.

목차

Ⅰ. 서론
Ⅱ. 후모르 개념을 둘러싼 해석의 난점들
Ⅲ. 키에르케고어 후모르 개념의 파라독스적 성격: 스스로 무화시키는 힘의 주체
Ⅳ. 후모르에 비추어 본 예술과 도덕 : 종교 교육적 함의
Ⅴ. 맺는 말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박정원. (2024).키에르케고어 후모르(Humor) 개념의 파라독스적 성격: 예술과 도덕의 종교 교육적 함의와 관련하여. 도덕교육연구, 36 (4), 121-141

MLA

박정원. "키에르케고어 후모르(Humor) 개념의 파라독스적 성격: 예술과 도덕의 종교 교육적 함의와 관련하여." 도덕교육연구, 36.4(2024): 121-141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