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독거노인가구의 주거빈곤이 주관적 건강에 미치는 영향: 자아존중감과 우울의 이중매개효과
이용수 0
- 영문명
- The Effect of Housing Poverty on Subjective Health among the Elderly Living Alone: Double Mediating Effects of Self-Esteem and Depression
- 발행기관
- 한국복지상담교육학회
- 저자명
- 김경희 서부일
- 간행물 정보
- 『복지상담교육연구』제13권 제2호, 201~226쪽, 전체 26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10.31
5,9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독거노인가구의 주거빈곤에 대한 규모와 특성을 실증적으로 파악하고, 주거빈곤이 독거노인의 주관적 건강에 미치는 영향에서 자아존중감과 우울의 매개효과를 규명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분석자료는 한국복지패널(KOWEPS) 15차(2020년) 이차자료를 활용하였다. 패널조사 자료 중 조사시점인 2020년 기준 만65세 이상 독거노인 1,502 사례를 최종 분석하였다. 분석은 SPSS 23.0과 PROCESS Macro3.5를 활용하였으며,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독거노인 가구의 주거빈곤 규모는 3가구 중 약 1가구로 나타났다. 둘째, 건강상태에 관해서는 자아존중감과 우울, 주관적 건강으로 확인하였다. 분석결과, 주관적 건강은 5점 만점 기준 평균값이 2.7057점으로 나타났으며, 우울은 11.8635점, 자아존중감은 4점 기준 평균 2.8427점으로 나타났다. 셋째, 주거빈곤이 1인 독거노인 가구의 건강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인구통계학적 특성을 통제하고 분석한 결과, 독거노인 가구의 주거빈곤이 주관적 건강에 미치는 영향은 통계적으로 유의했으나(β=-.2295, p<.001), 자아존중감과 우울이 포함되었을 때 주거빈곤은 더 이상 이들의 주관적 건강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나(β=-.0418, p>.05), 주거빈곤과 주관적 건강과의 관계에서 우울과 자아존중감이 각각 완전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이중매개효과의 크기를 검증한 결과 주거빈곤(X)→자아존중감(M1)→우울(M2))→건강(Y)의 경로는 -.0479(-.0674∼-.0307)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독거노인가구의 주거복지정책 및 서비스방향에 대한 함의와 과제를 제시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mpirically identify the magnitude and characteristics of residential poverty among the elderly living alone and to determine the mediating effects of self-esteem and depression on the effects of residential poverty on the subjective health of the elderly living alone. The analysis data used was secondary data from the 15th Korea Welfare Panel (KOWEPS) (2020). Among the panel survey data, 1,502 cases of seniors aged 65 or older living alone were finally analyzed as of 2020, the time of the survey. SPSS 23.0 and PROCESS Macro 3.5 were used for analysis, and the main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level of residential poverty among elderly households living alone was approximately 1 out of 3 households. Second, health status was confirmed in terms of self-esteem, depression, and subjective health.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average subjective health score was 2.7057 points on a 5-point scale, depression was 11.8635 points, and self-esteem was 2.8427 points on a 4-point scale. Third, as a result of controlling and analyzing demographic characteristics to determine how residential poverty affects the health of single-person elderly households, the effect of residential poverty on subjective health of single-person elderly households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β=-. 2295, p<.001), when self-esteem and depression were included, residential poverty no longer appeared to affect their subjective health (β=-.0418, p>.05), showing that residential poverty and subjective health It was found that depression and self-esteem each fu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Fourth, as a result of verifying the size of the double mediating effect, it was found that the housing poverty (X) → self-esteem (M1) → depression (M2) → health (Y) path was significant as -.0479 (-.0674~-.0307). Based on these results, implications and development tasks for the residential welfare policy and service direction of elderly households living alone were presented.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대학생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이용동기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 외로움의 매개효과
- 대학생의 온라인 및 오프라인 상호작용이 학교생활만족도와 삶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의사소통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대학생 마음챙김이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수용과 행복감의 이중매개효과
- 영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양육불안이 부모소진에 미치는 영향에서 회복탄력성의 매개효과
- 대학생이 지각한 부모의 심리적 통제와 지연행동의 관계: 학습된 무기력의 매개효과
- 심리상담전공 학부생 직무역량강화 방안: 외상인식기반 케어의 적용을 중심으로
- 초등 예비교사의 자아분화와 대인관계의 구조적 관계에서 우울의 매개효과 검증
- 독거노인가구의 주거빈곤이 주관적 건강에 미치는 영향: 자아존중감과 우울의 이중매개효과
- 대학생의 자아존중감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 SNS 중독경향성의 매개효과와 재확인추구의 조절된 매개효과
- 장기간 졸혼생활에서 경험한 심리적 고립감에 따른 자살생각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1인가구 중․장년 남성을 중심으로
- 전문상담교사의 특수아상담 실제 능력 함양을 위한 제언
- 성인애착이 외상 후 성장에 미치는 영향: 낙관성과 정신화의 조절된 매개효과
- 대학생의 디지털 리터러시 증진 프로그램의 효과성 연구: H 대학교 적용사례를 중심으로
- 어머니의 자기분화가 청소년 자녀 정신건강에 대한 지각에 미치는 영향: 정신화와 양육행동의 순차매개효과*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분야 BEST
- 코로나19로 인한 일상생활의 변화가 코로나블루에 미치는 영향
- 우리나라 저출산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 청소년의 학교생활부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 학교부적응 청소년들을 중심으로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분야 NEW
더보기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