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발행기관
- 구성주의유아교육학회
- 저자명
- 정대련
- 간행물 정보
- 『구성주의유아교육학회 학술대회』2022 추계학술대회 자료집, 197~204쪽, 전체 8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11.12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2019 개정 누리과정 실시에 즈음하여 출판된 그림책에 나타난 놀이 장면과 그 유아교육적 함의를 살펴보았다. COVID-19 팬데믹을 겪는 유아들의 삶 속 놀잇감으로서 의미 있는 비중을 차지하는 그림책, 특히 2019년 이후 출판되어 국내외에서 아동문학상 및 그림책 관련 상을 수상한 한국 작가들의 그림책 16권을 대상으로 하여, 유아들이 만나고 있는 그림책 속 세상과 놀이가 어떻게 그려지고 어떤 의미를 담고 있는지 살펴보려는 것이다. 연구 결과, 유아에게 있어 놀이는 곧 삶이며 교육의 장인 바, 그림책 속 등장인물과 소재들이 표현하는 놀이의 주체와 대상, 내용과 방법 등은 유아 중심, 놀이 중심을 지향하는 국가 수준의 유아교육과정인 누리과정의 목적을 성취하는 단초를 제공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영문 초록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 결과 분석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포스트 시대, 구성주의 유아교육의 실천 : 이분법을 넘어선 지속가능한 유아교육의 미래
- 百年之大計 : 공감과 창안의 딥리딩(Deep Reading)으로 리드(Lead)하기
- 디지털 시대, 책읽는 아이들 : 의미를 만들어가는 그림책 읽기 활동
- 예비유아교사의 놀이운영실제 신념에 따른 놀이중심 교육과정에 대한 인식
- 그림책과 스마트 디바이스를 활용한 유아 STEAM 프로그램 개발
- 디지털 시대, 책 읽는 아이들 : 유·초연계를 중심으로
- 놀이중심교육과정으로 학교현장실습을 마친 예비유아교사들의 ‘놀이지원자’ 역할 실행에 대한 경험의 의미
- 통합교육의 방향성 탐색을 위한 학위논문 중심으로 살펴 본 장애유아통합 중재프로그램 고찰
- 유아교사의 놀이지원역량과 개정누리과정실행 간의 관계에서 교사-유아상호작용의 매개효과
- 유아의 자유놀이 속 배움을 위한 교사의 언어적 지원에 대한 자기연구
- 포토보이스를 활용한 놀이중심교육 운영사례연구
- 다움반 유아들의 애플리케이션을 활용한 음악적 경험에 관한 연구
- 유아교사의 인공지능(AI)을 활용한 교육과정 운영 경험
- 코로나19 상황 속 영유아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 및 경제적 스트레스와 심리적 안녕감과의 관계에서 긍정심리자본의 매개효과
- 영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페르소나가 행복감 및 양육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 그림책에 나타난 작가의 놀이정신과 유아교육적 함의
- 보육교사의 사회적지지와 직업정체성, 이직의도와의 관계
- 교실에서 일어나는 유아 간 갈등 유형과 교사 개입 전략 탐색
- 유아교사와 부모 협력에 관한 동향분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