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50·60대 중년 남성을 대상으로 한 억울 집단상담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성 연구
이용수 118
- 영문명
- The Development and Effectiveness of Eogul Group Therapy Program for Middle Aged Men in Their 50s and 60s
- 발행기관
- 한국재활심리학회
- 저자명
- 김은하 박선영 김주은 배수연
- 간행물 정보
- 『재활심리연구』제31권 제2호, 89~113쪽, 전체 25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심리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6.30
5,8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아들러 개인심리학 이론과 마음챙김을 적용하여 50·60대 중년 남성을 위한 억울 집단상담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그 효과성을 검증하였다. 이를 위해 50세 이상 69세 이하인 중년 남성 14명을 처치집단으로, 18명을 통제집단으로 배정하고, 사전, 사후(5회기 종료 직후), 추후(프로그램 종료 4주 후)등 세 사례에 걸쳐 억울, 화병 증상, 우울 수준을 살펴보았다. 그 결과, 통제집단의 경우 사전에 비해 사후 및 추후 시점에서 억울과 화병 증상이 증가한 반면, 처치집단의 경우 억울은 거의 변화가 나타나지 않았고, 화병 증상은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우울의 경우 사후 시점에서 처치집단이 통제집단에 비해 낮은 점수를 보였으나, 추후 시점에서는 두 집단 간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더불어, 처치집단 참여자들에게 억울 프로그램에서 도움이 된 점과 아쉬운 점을 탐색한 결과, 억울 원인에 대한 탐색, 마음챙김, 상호지지 및 공감 등이 도움이 된 반면에 시간 부족이 아쉬운 점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결과들은 아들러 이론과 마음챙김을 토대로 한 억울 프로그램이 중년 남성의 억울과 화병 증상을 감소시키는데 효과적일 수 있음을 시사한다.
영문 초록
We developed a group therapy program for men in their 50s and 60s, informed by Adlerian individual psychology and mindfulness. A total of 14 men were assigned to the treatment group, while 18 were assigned to the control group. We examined eogul, hwa-byung symptoms, and depression at three points: pre-test, post-test, and follow-up (four weeks after). The results indicated that in the control group, eogul and hwa-byung symptoms increased at post-test and follow-up compared to the pre-test. In contrast, in the treatment group, eogul showed minimal changes, and hwa-byung symptoms decreased. Regarding depression, the treatment group exhibited lower scores than the control group at post-test, but there were in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two groups at the follow-up assessment. These findings support the effectiveness of a program influenced by Adlerian theory and mindfulness in alleviating eogul and hwa-byung symptoms.
목차
방 법
결 과
논 의
참 고 문 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한국판 2차적 운동 중독 척도 타당화 연구
-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정서에 미치는 효과에 관한 메타분석
- 대학생의 대인관계 유능성과 심리적 부적응의 관계에서 인지적 유연성의 매개효과
- 50·60대 중년 남성을 대상으로 한 억울 집단상담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성 연구
- 베트남 결혼이주여성의 문화적응 스트레스가 양육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정서조절능력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 사회불안과 SNS 중독의 관계: SNS 사용동기의 매개효과
- BDSM에 대한 이해와 상담적 개입 방안에 대한 고찰
- 학교전담경찰관의 역할갈등 경험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 미혼 성인의 고독동기가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의 매개효과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심리학분야 NEW
- 어머니의 공감적 양육태도가 남녀 아동의 공감능력에 미치는 영향: 애착과 정서조절능력의 매개효과
- 효과적 양육지식척도의 타당화 연구
- 청소년의 체질량지수, 신체적 자아상과 자아정체감의 관계: 우울의 조절된 매개효과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