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Meta-Analysis on the Effects of Group Counseling Programs for Emotions
- 발행기관
- 한국재활심리학회
- 저자명
- 정귀임 김미점 김장회
- 간행물 정보
- 『재활심리연구』제31권 제2호, 157~178쪽, 전체 22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심리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6.30
5,4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부정정서와 긍정정서에 미치는 효과를 종합적으로 살펴보고 집단상담 프로그램관련 개별변인에 따른 효과 크기를 파악하기 위해 1988년부터 2019년 12월까지 수행된 연구 214편을 선정하여 메타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우울에 미치는 평균 효과 크기는 -.940으로 큰 효과 크기를 보였다. 구체적인 상담이론에 따른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우울에 미치는 평균 효과 크기는 해결중심(-1.495), 전통적 CBT(-1.011), 교류분석(-.920) 마음챙김 명상(-.869)의 순으로 큰 효과 크기를 보였다. 또한,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불안에 미치는 효과 크기를 분석한 결과,–1.009로 큰 효과 크기를 보였으며 상담이론에 따른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불안에 미치는 평균 효과 크기는 전통적 CBT(-1.210), 해결중심(-1.202), 이야기치료(-1.017)순으로 큰 효과 크기를 보였다. 다음으로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분노에 미치는 평균 효과 크기는 -.786으로 중간 효과 크기였으며, 상담이론에 따른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분노에 미치는 효과 크기는 현실치료(-1.735), 게슈탈트(-1.131), 정서 중심(-1.111)순으로 나타났다.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행복에 미치는 평균 효과 크기는 .836으로 나타났다. 상담이론에 따른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행복에 미치는 평균 효과 크기는 긍정심리(.804), 현실치료(.783), 아들러 이론(.706) 순으로 효과 크기를 보였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추후 프로그램 개발에서 고려할 사항들을 제시하고 후속 연구에 대한 제언을 논의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dentify the effects of group counseling programs based on various counseling theories on both negative and the positive emotions. A meta-analysis was performed on 214 studies that had demonstrated the emotional effects of group counseling programs. The analysis revealed that the overall effect of group counseling programs on depression showed a large mean effect size of -.940. Specifically, the mean effect size of group counseling programs on depression was as follows: Solution Focused Therapy(-1.495), Cognitive Behavior Therapy(-1.011), Transnational Analysis(-.920), Mindfulness Meditation(-.869). The effects on anxiety also showed a large mean effect size of –1.009, with the mean effect for Cognitive Behavior Therapy(-1.210), Solution Focused Therapy(-1.202), Narrative Therapy(-1.017). For anger, the mean effect size was medium at -.786. with Reality Therapy(-1.735), Gestalt Therapy(-1.131), Emotion Focused Therapy(-1.111). The mean effect size for happiness was large at -.836., observed in the following order: Positive Psychology(.804), Reality Therapy(.783), Adler Therapy(.706). Based on these results, various issues were discussed, including the implications for group counseling strategies in dealing with emotions and suggestions for further studies on the development of group counseling programs and related research tasks.
목차
방 법
결 과
논 의
참 고 문 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한국판 2차적 운동 중독 척도 타당화 연구
-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정서에 미치는 효과에 관한 메타분석
- 대학생의 대인관계 유능성과 심리적 부적응의 관계에서 인지적 유연성의 매개효과
- 50·60대 중년 남성을 대상으로 한 억울 집단상담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성 연구
- 베트남 결혼이주여성의 문화적응 스트레스가 양육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정서조절능력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 사회불안과 SNS 중독의 관계: SNS 사용동기의 매개효과
- BDSM에 대한 이해와 상담적 개입 방안에 대한 고찰
- 학교전담경찰관의 역할갈등 경험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 미혼 성인의 고독동기가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의 매개효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