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한국판 2차적 운동 중독 척도 타당화 연구
이용수 79
- 영문명
- The Validation of the Korean Version of Secondary Exercise Addiction Scale
- 발행기관
- 한국재활심리학회
- 저자명
- 전민탁 강찬휘 박재서 추교현 신성만
- 간행물 정보
- 『재활심리연구』제31권 제2호, 15~32쪽, 전체 18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심리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6.30
4,9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Trott 외(2022)가 개발한 2차적 운동 중독 척도(Secondary Exercise Addiction Scale)를 한국어로 번역하고 신뢰도와 타당도를 검증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원저자의 동의를 받은 후 원척도 11문항을 번역 및 역번역하여 전문가 평정을 통해 최종 번역본 문항을 확정하였다. 자료 분석에는 주 2회 이상 운동에 참여하는 만 18세 이상 남녀 300명의 데이터를 활용하여 확인적 요인분석, 신뢰도 분석, 타당도 분석, ROC 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SEAS-K는 원척도와 동일하게 운동 중독과 섭식 장애 두 가지 하위요인으로 구성됨을 확인하였다. 둘째, SEAS-K의 신뢰도는 .76으로 분석 및 활용 가능한 수준으로 확인되었다. 셋째, SEAS-K와 운동 의존 척도, 섭식 태도 척도 및 자존감 척도와 상관분석을 통해 공인타당도와 수렴타당도를 확인하였다. 넷째, 고위험군을 식별하기 위한 ROC 분석 결과, 요인별 최적의 절단점은 각각 26점과 18점으로 확인되었다. 이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의의 및 제한점, 추후 연구를 위한 제언을 논의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translate the Secondary Exercise Addiction Scale (SEAS) developed by Trott et al(2022) into Korean and to examine its reliability and validity. With the consent of the original author, the 11 questions of the original scale were translated into Korean, back-translated, finalized through expert evaluation. For data analysis,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validity analysis, and ROC analysis were conducted using data from 300 men and women aged 18 years or older who participated in exercise at least twice a week.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it was confirmed that SEAS-K consists of two sub-factors: exercise addiction and eating disorder, which align with the original scale. Second, the reliability of SEAS-K was .76, indicating its usability. Third, the concurrent and convergent validity were confirmed through correlation analysis with SEAS-K, the Exercise Dependence Scale, the Eating Attitudes Scale and the Self-Esteem Scale. Fourth, ROC analysis identified high-risk groups, confirming the optimal cutoff points for each factor as 26 points and 18 points. Based on these findings,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suggestions for further research were discussed.
목차
방 법
결 과
논 의
참 고 문 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한국판 2차적 운동 중독 척도 타당화 연구
-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정서에 미치는 효과에 관한 메타분석
- 대학생의 대인관계 유능성과 심리적 부적응의 관계에서 인지적 유연성의 매개효과
- 50·60대 중년 남성을 대상으로 한 억울 집단상담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성 연구
- 베트남 결혼이주여성의 문화적응 스트레스가 양육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정서조절능력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 사회불안과 SNS 중독의 관계: SNS 사용동기의 매개효과
- BDSM에 대한 이해와 상담적 개입 방안에 대한 고찰
- 학교전담경찰관의 역할갈등 경험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 미혼 성인의 고독동기가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의 매개효과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심리학분야 NEW
- 효과적 양육지식척도의 타당화 연구
- 어머니의 공감적 양육태도가 남녀 아동의 공감능력에 미치는 영향: 애착과 정서조절능력의 매개효과
- 취학 전 유아의 의도적 통제가 교사-유아 친밀-갈등관계를 다중병렬매개로 또래수용성에 미치는 영향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