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베트남 결혼이주여성의 문화적응 스트레스가 양육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정서조절능력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이용수 96
- 영문명
- The Effect of Acculturative Stress on Parenting Sense of Competence of the Vietnamese Marriage Migrant Women in Korea: Focusing on the Moderating Effect of Emotional Regulation Competency
- 발행기관
- 한국재활심리학회
- 저자명
- NGUYEN THI MAI 박수정 김영근
- 간행물 정보
- 『재활심리연구』제31권 제2호, 53~66쪽, 전체 14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심리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6.30
4,4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에서 한국생활을 경험하고 있는 베트남 결혼이주여성의 문화적응 스트레스가 양육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탐색하고 이러한 관계 속에서 정서조절능력의 조절효과가 있는지 확인하는 것이다. 연구를 위해 전국에 거주하고 있는 베트남 결혼이주여성 306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회수한 설문지에서 불성실하게 응답한 설문지 24부를 제외하여 총 282부가 사용되었다. 베트남 결혼이주여성의 문화적응 스트레스, 양육효능감, 정서조절능력에서의 관계를 파악하기 위해 SPSS Statistics 26.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했다. 그 결과, 베트남 결혼이주여성의 문화적응 스트레스 상황에 따라 양육효능감에 관한 정서조절능력 조절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는 문화적응 스트레스가 높음에도 불구하고 정서조절능력이 높을 경우, 양육효능감을 높일 수 있음을 시사한다. 본 연구는 베트남 결혼이주여성의 정서조절능력에 대한 이해와 그 중요성을 인식하도록 하는 것만 아니라 중요도와 필요성을 알리고 강조하여 베트남 결혼이주여성들의 문화적응 스트레스와 관련한 당면할 수 있는 다양한 문제에 대해 개선 방향을 모색하는데 그 기초자료를 제공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effect of cultural adaptation stress on the parenting efficacy of Vietnamese married migrant women living in Korea, and to determine whether emotional regulation has a moderating effect on this relationship. A survey was conducted with 306 Vietnamese married migrant women across the country, and a total of 282 responses were analyzed excluding 24 random or incomplete responses. The SPSS program was used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cultural adaptation stress, parenting efficacy, and emotional regulation ability. The results indicated that emotional regulation has a moderating effect on parenting efficacy in the context of cultural adaption stress. This finding suggests that high emotional regulation ability can enhance parenting efficacy, even under high cultural adaptation stress.
목차
방 법
결 과
논 의
참 고 문 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한국판 2차적 운동 중독 척도 타당화 연구
-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정서에 미치는 효과에 관한 메타분석
- 대학생의 대인관계 유능성과 심리적 부적응의 관계에서 인지적 유연성의 매개효과
- 50·60대 중년 남성을 대상으로 한 억울 집단상담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성 연구
- 베트남 결혼이주여성의 문화적응 스트레스가 양육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정서조절능력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 사회불안과 SNS 중독의 관계: SNS 사용동기의 매개효과
- BDSM에 대한 이해와 상담적 개입 방안에 대한 고찰
- 학교전담경찰관의 역할갈등 경험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 미혼 성인의 고독동기가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의 매개효과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심리학분야 NEW
- 어머니의 공감적 양육태도가 남녀 아동의 공감능력에 미치는 영향: 애착과 정서조절능력의 매개효과
- 효과적 양육지식척도의 타당화 연구
- 청소년의 체질량지수, 신체적 자아상과 자아정체감의 관계: 우울의 조절된 매개효과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