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경주 쪽샘 44호분 출토 障泥 복원 연구

이용수 17

영문명
Restoration Research on the Saddle Flap Excavated from Tomb No. 44 of the Jjoksaem Site
발행기관
한국고고학회
저자명
이현우 심현철 임지영 정인태 박윤미 이선주 김현정 허수민 김현수
간행물 정보
『한국고고학보』제131집, 313~342쪽, 전체 30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4.06.30
6,4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경주 쪽샘 44호분은 금관총 시기의 적석목곽묘로, 그 피장자는 10세 전후의 신라 왕실 여성으로 추정된다. 주인공의 머리맡 석단에서 비단벌레가 사용된 심엽형장식과 보요부반구형장식이 다수 출토되었다. 이들 장식과 유사한 장식이 경산 임당 5A호분 안금구 주변에서 출토된 점, 중앙에서 흑칠 안교목의 일부가 확인된 점 그리고 유기물 분석 결과를 토대로 장니와 장니장식구임을 밝혔다. 장식구에 수착된 직물과 흑칠 틀에 부착된 유기물을 분석하여, 흑칠 목제틀 하판 – 평직 마직물 - 죽제 평직 편조물 – 평직 마직물 – 평직 견직물[絹] – 적색의 능직 견직물[綺] – 흑칠 목제틀 상판 순서로 구성된 장니의 본체를 복원하였다. 심엽형장식과 보요부반구형장식은 십자상으로 조합되어 주 문양을 구성하는데, 綺의 색조와 능형문이 더해져 화려함이 극대화되었다. 장니에는 못이 전혀 사용되지 않고 실과 매듭으로 고정하였으며, 전체적으로 보요장식이 돌출되어 있어 파손되기 쉽다. 이에 실사용이 불가능하며, 공반된 입주부운주 역시 마찬가지이다. 이들 마구는 모두 의례를 위해 제작된 명기로, 무덤 내 제사에 사용되었다. 복원된 장니는 고고학 전문가와 유기물, 복식, 칠, 금공 전문가들과의 융복합 연구의 결과물로, 우리가 눈으로 볼 수 있는 고고유물의 분석에서 한 걸음 더 나아가 마이크로 아케올로지 연구의 필요성과 학제간 융복합연구의 중요성을 보여 준다.

영문 초록

Tomb No. 44 of the Jjoksaem site is a wooden chamber tomb with a stone mound that belongs to the same period as Geumgwanchong Tomb, and the buried individual is presumed to be a royal woman (princess) of Silla around the age of 10. A number of leaf-shaped decorations using jewel beetle wings and hemispherical decorations with round pendants were excavated from the stone structure near the head of the deceased’s head. As decorations similar to these decorations have been excavated around a saddle at Imdang Tomb 5A in Gyeongsan, as a part of a black painted saddle was found in the center of this area, and based on the results of organic material analysis, it was established that these decorations originally adorned a saddle flab. By analyzing the fabric attached to decora-tions and the organic matter attached to the black lacquered frame, the following parts of the main body of the saddle flap were identified and restored: the lower plate of the black lacquered wood frame, plain hemp fabric, plain bamboo fabric, plain hemp fabric, plain silk fabric, red colored twilled silk fabric, and the upper plate of the black lacquered wood frame. The leaf shaped decorations and hemispherical decorations with round pendants were combined in a cross shape to form the main pattern, and their splendor was maximized by adding red purple colour and silk twill fabric. Nails were not used at all for this saddle flap; components were fixed with threads and knots. The decorations with round pendants protrude, making them easy to break. Therefore, the saddle flap is impossible to use when riding a horse, and the same applies to the decorations of the saddle breech. Such horse harnesses therefore appear to have been used for rituals, particularly for ancestral rites in the tomb. The restored saddle flap is the result of interdisciplinary and convergence research between archaeological experts and experts in organic matter, clothing, lacquer, and gilt-bronze. This case demonstrates the necessity of micro-archaeological research and the importance of interdisciplinary and convergence research, allowing research to go one step further beyond the analysis of archaeological objects done with the naked eye.

목차

Ⅰ. 머리말
Ⅱ. 44호분의 구조와 障泥 출토 현황
Ⅲ. 장니의 복원과 의의
Ⅳ.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현우,심현철,임지영,정인태,박윤미,이선주,김현정,허수민,김현수. (2024).경주 쪽샘 44호분 출토 障泥 복원 연구. 한국고고학보, (), 313-342

MLA

이현우,심현철,임지영,정인태,박윤미,이선주,김현정,허수민,김현수. "경주 쪽샘 44호분 출토 障泥 복원 연구." 한국고고학보, (2024): 313-342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