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남원 유곡리와 두락리 고분군 36호분과 가야, 백제 및 신라

이용수 13

영문명
Tomb No. 36 of Yugok-ri and Durak-ri, Namwon —Tombs and their political and military significance in the Border Region
발행기관
한국고고학회
저자명
김낙중
간행물 정보
『한국고고학보』제131집, 283~311쪽, 전체 29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4.06.30
6,2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글에서는 남원 유곡리와 두락리 36호분의 특징을 봉분, 석실, 부장품으로 나누어 살펴보고, 이를 대가야, 백제 및 신라의 횡혈식석실분과 비교 검토하여 계보, 축조 주체, 축조 시기 등을 추론한 다음 이를 바탕으로 36호분 석실에 반영된 역사적인 의미를 살펴보았다. 특히 백제, 대가야 및 신라라는 주요 정치세력의 변경 혹은 완충지역에 존재하는 지역사회의 동향을 살피는 사례로서 다루었다. 유곡리 36호분 석실은 합천 저포리 D-Ⅰ-1호 석실 및 산청 생초 M32호분 석실과 동일한 형식으로 묶을 수 있는 대가야 유형 석실의 하나로 여겨진다. 대가야 유형 석실의 등장에는 백제의 영향이 미쳤다. 따라서 유곡리 36호분 석실에도 궁륭형 천장 등 백제 석실의 영향이 보인다. 그러나 백제 중앙의 직접적인 영향 아래 축조된 것은 아니다. 왜냐하면 36호분이 축조된 시기인 백제 사비기 전반의 석실 중에는 비교할 만한 사례가 없기 때문이다. 유사한 속성을 공유한 석실 유형이 존재하는 것을 통해 대가야 권역의 축조 전통에서 그 등장을 이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만 고령의 대가야 왕권이 이러한 석실의 조영을 규제할 정도는 아니었다. 대가야 유형 석실의 정형화가 이루어지지 않은 점을 통해 이를 추정할 수 있다. 이는 새로운 석실 조영과 양식의 선택에 지역집단의 의지가 크게 반영되었다는 것을 시사한다. 유곡리 36호분 석실은 기존 묘역의 범위 안에 조성되었으며, 고령지역의 석실과는 차이가 있지만 대가야 유형 석실에 포함되는 점으로 보아 기존에 대가야계 수혈식석곽묘를 매장시설로 사용한 고총 축조집단의 후예가 묻힌 것으로 추정된다. 한편, 유곡리 36호분에는 6세기 말의 신라 대금구가 부장되었는데, 운봉 고원 일대가 신라에 점유된 이후 추가장된 인물의 부장품으로 여겨진다. 이것은 운봉 고원 일대를 신라가 요충으로 여기고 현지 유력자를 지배 아래 두려고 한 모습을 시사한다. 운봉 고원 일대에는 신라 석실이나 석곽이 기존 묘역 내에서 일부 조성되기도 하지만 아직 군집분이 확인되지 않았다. 신라와 백제 두 나라가 관산성 전투 이후 첨예하게 부딪치는 가운데 특히 7세기 이후의 이 지역은 군사적인 요충지로서 어느 나라도 안정적으로 지배영역에 포함할 수 없었던 상황이 이러한 현상으로 나타난 것 아닌가 생각된다.

영문 초록

Yugok-ri Tomb No. 36 is a Daegaya-type stone chamber; the appearance of such Dae-gaya-type stone chambers was influenced by Baekje. Therefore, it can be said that the influence of the Baekje stone chamber is also observed in the stone chamber of Yugok-ri Tomb No. 36. However, this stone chamber was not built under the direct influence of Baekje. This is because, among the stone chambers of the Sabi region of the same peri-od, there is no comparable case to this. We therefore need to understand the construction of this stone chamber from the construction tradition of the Daegaya region, where stone chamber types that share similar properties exist. However, the extent of the Daegaya king's authority did not extend to regulating the construction of these stone chambers. This can be inferred from the lack of standardization observed in these stone chambers. This suggests that the will of the local group was greatly involved in the construction of the new stone chamber. Yugok-ri Tomb No. 36 was built within the existing burial ground, and considering that Daegaya-type stone chambers were present in this burial ground, it is presumed that this is where the descendants of the group that built Daegaya-type pit-type stone chambers were buried. A Silla belt ornament of the late 6th century was excavated from Yugok-ri Tomb No. 36. It is believed that this was added after the Unbong Highland area was occupied by Silla. This suggests that Silla viewed the Unbong Highland area as a key strategic point and tried to bring local influential people under its control. Meanwhile, in the Ayeong area, a small number of Silla stone chambers were built amongst the existing tombs, but no cases of clustering have yet to be confirmed. The Un-bong Highland area was a strategic military point between Silla and Baekje. Therefore, no country was able to include this region within the territory under its control in a stable manner. Accordingly, it is believed that few stone chambers from Silla or Baekje were built.

목차

Ⅰ. 머리말
Ⅱ. 구조, 부장품 및 축조 연대
Ⅲ. 역사적인 의미
Ⅳ.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낙중. (2024).남원 유곡리와 두락리 고분군 36호분과 가야, 백제 및 신라. 한국고고학보, (), 283-311

MLA

김낙중. "남원 유곡리와 두락리 고분군 36호분과 가야, 백제 및 신라." 한국고고학보, (2024): 283-311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