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김해지역 목곽묘 부장 토기를 통해 본 제사와 물질문화의 변동

이용수 11

영문명
Changes in Wooden Tomb Rituals and Material Culture in Wooden Tombs in the Gimhae Region
발행기관
한국고고학회
저자명
여창현
간행물 정보
『한국고고학보』제131집, 255~281쪽, 전체 27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4.06.30
6,0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고에서는 최근까지 김해지역에서 발굴 조사된 고분군을 지형 및 수계별로 구분하고 고분군 내 목곽묘 자료를 유형화한 후 목곽묘에서 이루어지는 토기 부장이 어떠한 의미를 가지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곽의 출현에 중점을 두고 목관묘에서 목곽묘로의 전환에 따른 토기 의례가 어떠한 과정으로 정형화되는지 설명해 보고 물질문화의 변동을 논의하였다. 목곽묘 이전의 매장 의례는 수직적인 공간을 인식한 누적적인 행위의 제의였다. 곽의 수용은 매장 의례에서 중대한 변화를 가져왔다. 김해지역에서도 2세기 후반 무렵부터 목곽묘가 등장하고 평면 배치의 토기 제사가 베풀어지는 것은 중심 집단으로 알려진 대성동 고분군에서 3세기 말 정도에 나타난다. 제사에 사용된 부장 토기는 자비기(煮沸器), 성찬기(盛饌器), 저장기(貯藏器), 의례기(儀禮器)로 나눌 수 있으며 목곽묘의 형식에 따라 정형화된 배치를 보여 준다. 이와 함께 다양한 형식의 목곽묘들은 토기 제사의 정형화와 함께 물질문화의 변동을 초래한다. 목곽묘 토기 제사의 정형화와 함께 분묘 축조 집단의 전파-이주에 대한 개념적 모델을 제시하고 여러 물질문화 변동의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개념적 모델에 따라 다른 지역에서 발생한 문화현상이 확실히 비토착적인 문화요소들의 결합으로 등장한다면 이주의 가능성이 높다고 이해하였다. 특히 부장갱 목곽묘(Ⅲa형식)는 고분군 내에서 시공간적 점유방식, 분묘의 동일한 구조적 속성, 동일한 토기 복합체의 공유 양상을 볼 때, 이주민이 선주민이 점유하고 있는 지역의 일부에 정착하여 기존 선주민 집단과 느슨한 공간적 경계를 두고 점차 서로의 문화가 동화된 경우로 이해하였다. 분묘 축조 집단이 남긴 특정 물질문화를 전파와 이주에 따른 문화변동이라고 해석하는 것이 절대적일 수는 없지만, 토기 제사의 전통이 물질문화의 변동을 가져온 하나의 기제로 작용할 수 있다고 생각된다.

영문 초록

In this paper, the groups of tombs excavated and investigated up to the present date in the Gimhae area were classified according to watershed. After categorizing the wooden tomb structures of these ancient tomb groups, attempts were made to establish the mean-ing of the pottery deposited into these tombs. Focusing on the emergence of wooden tombs, the process by which the rituals of wooden tombs came to be formalized following the transition to wooden tombs was examined, and changes in the material culture were discussed. Burial rites practiced prior to the use of wooden tombs involved cumulative rituals in a vertical space. The acceptance of wooden tombs brought about significant changes in buri-al rites. In the Gimhae area, wooden tombs appeared from the latter half of the 2nd centu-ry, and the rites for wooden tombs in a horizontal arrangement appeared in the Daeseong-dong burial ground, which was the central tomb cluster, around the end of the 3rd century. Pottery used in wooden tomb rites can be divided into vessels for boiling, sacrificial vessels, storage vessels, and ceremonial vessels. A standardized arrangement of the pottery accord-ing to wooden tomb form can also be observed. Along with this, various types of wooden tombs generated changes in material culture, alongside the formalization of wooden tomb ceremonies. In addition to the formalization of wooden tomb rites, this paper also presents a con-ceptual model for the diffusion and migration of tomb-building groups, and also suggests the possibility of various material and cultural changes. According to this conceptual mod-el, it was propsed that the possibility of migration is high if several non-indigenous cultural elements that are certain to have occurred in other regions appear in a group at the same time. Although specific elements of material culture left by the tomb builders cannot neces-sarily be regarded as cultural change due to diffusion and migration, the tradition of wood-en tomb rites can be understood and regarded as a cultural element that brought about change in the material culture.

목차

Ⅰ. 머리말
Ⅱ. 목곽묘의 부장 토기와 제사
Ⅲ. 김해지역 목곽묘 제사와 물질문화의 변동
Ⅳ.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여창현. (2024).김해지역 목곽묘 부장 토기를 통해 본 제사와 물질문화의 변동. 한국고고학보, (), 255-281

MLA

여창현. "김해지역 목곽묘 부장 토기를 통해 본 제사와 물질문화의 변동." 한국고고학보, (2024): 255-281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