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원삼국시대 화성 기안리 제철공방의 조성 배경

이용수 22

영문명
Background of the Establishment of the Hwaseong Gian-ri Iron Production Workshop during the Proto-Three Kingdoms Period
발행기관
한국고고학회
저자명
박중국
간행물 정보
『한국고고학보』제131집, 181~219쪽, 전체 39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4.06.30
7,4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화성 기안리유적은 조사 당시부터 막대한 양의 낙랑계토기가 출토된 대규모 제철공방으로 주목받았고, 낙랑의 제철기술 및 제도술을 가진 공인 집단의 이주로 성립된 것으로 이해되었다. 기안리유적의 층서관계와 토기유물군을 검토한 결과, 4단계에 걸친 취락의 변천이 상정되고, 탄소연대·기안리유적을 중심으로 주변으로 확산되는 회도의 분포양상・전국~한대 옹관묘의 변천 등을 고려하면 기안리유적의 성립 시점은 기원후 2세기 중엽까지 소급된다. 하한은 백제 한성기에 해당하는 4세기 전반으로 판단된다. 중서부지역의 회도는 시흥・화성・평택・아산・진천・청주에 걸쳐 광범위하게 분포하며, 기안리유적에서 멀어질수록 기종과 수량이 감소하고 제작기법도 재지적 요소가 많다. 회도가 확인된 취락 내에는 원형로와 대구경 송풍관 등을 기반으로 한 철 생산의 흔적이 확인되고, 주변에는 유개대부토기・원저 발・철모・철검・봉상철정・동물형 대구가 부장된 분묘가 분포한다. 제철공방과 회도, 봉상철정의 삼자는 강한 연관성을 띠고 분포하는데, 군현 ↔ 마한 ↔ 진변한 ↔ 왜로 연결되는 철 교역망의 존재를 시사한다. 기안리유적 회도의 기종구성은 낙랑토성 일대에서 확인되는 군집과 연산산맥 이남지역 및 요령지역에 분포하는 원저 옹・발이 모두 확인되며, 낙랑고분이나 김포・인천 일대의 분구묘에 부장되는 백색 옹은 확인되지 않는다. 따라서 기안리유적의 조성 집단은 대방군 설치 이전의 낙랑 출신이거나 타지의 漢人으로 볼 수 있다. 기안리유적의 제철공방은 원삼국시대부터 백제 한성기까지 지속적으로 운영되었고, 낙랑 계통의 제도술・제와술・토목건축 기술의 제 요소가 한성백제 유적에서 폭넓게 확인되는 점을 감안하면 기안리집단의 이주와 정착에 관여한 전략적 동반자는 화성지역 정치체와 伯濟國으로 추정된다. 후한대 철 전매제가 쇠퇴하고, 2세기 후반 낙랑의 통제력이 약해짐에 따라 제철기술을 보유한 집단이 화성지역 정치체 및 백제국과의 제휴 속에서 기안리에 정착한 것이고, 원삼국시대 중서부지역 제철공방의 확산 배경에는 기안리집단의 관여와 기술의 전수가 있었다고 판단된다.

영문 초록

The stratigraphy and pottery of Giani-ri suggest that this production site was established in four phases. In the period after the main residential area was established (Phase 1), a circular ditch enclosure was formed. This enclosure can be divided into the double-enclo-sure phase (Phase 2), in which the structure enclosed the entire site, and the triple-enclosure phase (Phase 3). The iron smelting workshop continued to operate until the Hansung period of Baekje, even after the triple-enclosure settlement was abandoned (Phase 4). An analysis of the Nakrang-style pottery and the results of carbon dating suggest that the establishment of the Giani-ri site may date back to the 2nd century CE. Nakrang-style pottery in the central western region of Korea is widely distributed across Siheung, Hwaseong, Pyeongtaek, Asan, Jincheon, and Cheongju, and the variety and quantity of the pottery decreases, and the production techniques become more localized as the distance from the Giani-ri site increases. Within the settlements where Nakrang-style pottery has been found, there are traces of iron production in the form of circular furnaces and large-scale tuyeres. Therefore, the innovation of iron smelting technology in the central western region can be seen to have originated from Nakrang-related immigrants around the end of the Han dynasty, and spread through the involvement of the Giani-ri ironworking group. Since iron smelting technology is found mainly in the central western region during the 2nd to 3rd centuries, the Jin-Byeonhan origin theory is difficult to accept. Considering the continuous operation of the Gian-ri site’s iron smelting workshop from the end of the Han dynasty to the Hansung period of Baekje, the influence of the Nakrang tradition observed in Hansung-style pottery, and the remarkable growth of Hansung Baekje after the mid-3rd century, it may be proposed that the strategic partners involved in the settlement of the Gian-ri group are likely to be the polities of the Hwaseong region and Baekje-guk.

목차

Ⅰ. 머리말
Ⅱ. 화성 기안리유적의 검토
Ⅲ. 중서부지역의 회도와 제철공방, 유개대부토기 부장묘의 양상
Ⅳ. 화성 기안리 제철공방의 조성 배경
Ⅴ.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박중국. (2024).원삼국시대 화성 기안리 제철공방의 조성 배경. 한국고고학보, (), 181-219

MLA

박중국. "원삼국시대 화성 기안리 제철공방의 조성 배경." 한국고고학보, (2024): 181-219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