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생물문화다양성 보존을 위한 지역 자연사박물관의 역할과 방향 - 일본 가고시마현 사례를 중심으로 -
이용수 76
- 영문명
- The Role and Direction of Local Natural History Museums for Preserving Biocultural Diversity - Focusing on the Case of Kagoshima, Japan -
- 발행기관
- 한국박물관학회
- 저자명
- 조성실
- 간행물 정보
- 『박물관학보』제47호, 31~56쪽, 전체 26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역사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6.30
5,9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최근 박물관법 개정을 통해 박물관의 사회적 역할과 기능, 그 미래상에 대해 숙고하고 있는 일본 사례를 중심으로 생물문화다양성 보존의 문제와 이와 관련한 지역 자연사박물관의 역할과 방향을 살펴보고자 한 데서 출발한다. 본고의 연구 대상 지역인 일본 가고시마는 세계자연유산으로 지정된 여러 섬이 존재하고 특히 언제 분화할지 모를 활화산을 지척에 둔곳이다. 보통 현립(県立)박물관은 해당 지역의 고고․역사․예술 위주의 주제를 다루는 것이 일반적이나 가고시마의 경우 자연사가 주요한 콘텐츠이며 이를 바탕으로 전시와 박물관 활동들을 지속해 오고 있다. 가고시마현은 자연 자원이 풍부하며 이에 대한 관심이 높은 지역으로 자연계 박물관이 다수 분포하고 있다. 연구자는 가고시마현립박물관을 비롯한 가고시마현의 여러 자연계 박물관 사례를 통해 자연환경과 문화유산이 맺고 있는 관계를 살펴보고 자연사박물관이 주도하는 생물문화다양성 보존 활동 및 전시재현과 지역사회 참여 양상을 분석해 보고자 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began with an attempt to examine the issue of biological and cultural diversity conservation and the role and direction of local natural history museums in this regard, focusing on the case of Japan, which is considering the social role and function of museums and their future. Kagoshima, Japan, is the study area of this paper. It has several islands designated as World Natural Heritage sites and is especially close to an active volcano that may erupt at any time. Usually, prefectural museums deal with the region’s archeology, history, and art. Still, in Kagoshima’s case, natural history is the main content, and exhibitions and museum activities have continued based on this. Kagoshima Prefecture is a region rich in natural resources and has a high level of interest, with many natural museums located there. This paper examine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natural environment and cultural heritage through the cases of various natural museums in Kagoshima Prefecture, including the Kagoshima Prefectural Museum. Additionally, this study analyzes the biological and cultural diversity conservation activities led by the Natural History Museum, exhibition reproduction, and local community participation patterns.
목차
Ⅰ. 들어가는 글
Ⅱ. 가고시마현 자연계 박물관의 내용과 특징
Ⅲ. 자연-문화의 공생과 생물문화다양성 보존, 그리고 지역사회
Ⅳ.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생물문화다양성 보존을 위한 지역 자연사박물관의 역할과 방향 - 일본 가고시마현 사례를 중심으로 -
- 큐레이터십을 연구하기: 미술관 큐레이터의 전문직업성을 중심으로
- 홀로그램을 활용한 무형유산 XR 융합콘텐츠 개발 - 남원 국립국악원 수궁마루 전시 사례를 중심으로 -
- 전쟁기념관 어린이박물관에서 부모의 감정에 대한 의미 네트워크 분석 연구
- 방명록을 활용한 박물관 이용자의 사회적 기억 연구
- 말레이시아 국립박물관 도슨트(Docent) 프로그램 사례 연구
- 러시아제국의 유럽화와 에르미타주박물관의 탄생 - 18세기 러시아를 중심으로 -
- 박물관 브랜드 개성 척도의 개념화에 관한 연구 - 베이징 고궁박물원을 중심으로 -
- 박물관 전시 구성에서 시간관 조형의 문제 - 박물관과 삶의 연관을 위한 탐색
참고문헌
관련논문
인문학 > 역사학분야 BEST
- 지역문화유산을 활용한 교육프로그램 개발과 운영 -군산대학교 박물관 ‘소원배 만들기’를 중심으로-
- 경주지역 신라사찰 출토 매납토기의 용도와 특징
- 일제강점기 조선고적조사사업과 한국고고학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