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박물관 전시 구성에서 시간관 조형의 문제 - 박물관과 삶의 연관을 위한 탐색

이용수 6

영문명
A Study on Museum Exhibition and Formation of Time Consciousness - Exploring ways to relate museums to everyday life
발행기관
한국박물관학회
저자명
조혜진
간행물 정보
『박물관학보』제47호, 1~30쪽, 전체 30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4.06.30
6,4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박물관이 오랫동안 전시 구성에 반영해 왔던 선형적 시간관, 그리고 그 성찰로서 대두한 공시간관 조형 측면을 살피면서, 삶과의 연관을 도모하려는 국내 역사계 박물관이 논쟁화해야 할 지점을 제안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먼저 19세기 무렵 퍼져나간 박물관이 당시 서유럽 사회에 팽배했던 ‘역사주의(historicism)’ 분위기와 연동해 선형적ㆍ진보적인 시간관을 유포하던 산물이었음을 살폈다. 선형적 시간관은 당시로서는 세상의 이치를 총체적으로 파악할 수 있게 하는 획기적인 세계관이라 여겨졌다. 하지만 이는 인간의 행위 결과를 시간의 연속에 결박시켜 파악하도록 하는 등, 삶의 운영 주체로서의 행위성과 역동성을 결정론적이고 목적론적으로 이해하게 만드는 한계를 지닌다. 그래서 이러한 한계 인식에서 변화를 추동한 박물관들은, 과거와 미래를 쫓는 전시 방식이 아닌, 현재의 무대에서 행하는 사유와 수행에 방점을 두는 새로운 시간관 조형을 요청ㆍ 실행하고자 했다. ‘공시간관(contemporary)’ 개념이 등장하고 논쟁점으로 부상한 까닭이다. 이에 박물관 전시 구성에서 공시간관의 강조가 지닌 함의를 구체적으로 살피며, 이것이 현재의 삶과 박물관 전시를 어떻게 연관 짓게 하는지를 검토했다. 마지막으로, 이를 바탕으로 국내 역사계 박물관이 삶과의 연관을 도모하기 위해서는 공시간관의 강조와 그것이 추구하는 바를 세심하게 살펴보며, 전시 구성에 관성적으로 적용하고 있는 시간관을 쟁점화할 필요가 있음을 제안했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what issues need to be made by domestic historical museums that seek to relate to life. To this end, I looked at the linear view of time that the museum has implemented as an exhibition and the concept of contemporary that emerged as a reflection. First, I revealed that museums that spread including Western Europe in the 19th century were involved in distributing a linear and progressive view of time in conjunction with the atmosphere of ‘historism’ that prevailed in Western European society at the time. At that time, the linear view of time was spotlighted as a useful worldview for comprehensively grasping the principles of the world. However, this makes human subjective behavior subjugated to the succession of time to grasp it. It has a limit that makes it overlook the dynamic subjectivity and behavior of running one's life. The museum, which emerged from this recognition of limitations, emphasized 'contemporary' as the principle of composition of the exhibition. It is a new view of time that focuses on present thoughts and actions. Therefore, I paid attention to the implications of such a concept as to what and how this emphasis on contemporary was intended to change in museum exhibitions. Finally, based on this, I suggested that in order for domestic historical museums to promote a connection with life, it is necessary to look at what the contemporary concept pursues, and that it is necessary to make the method of implementing the view of time through exhibitions an issue. Through this study, I look forward to starting a discussion on the realization of the view of time, which was still an incomplete area, even though it should have been carefully examined and discussed in relation to the composition of the exhibition.

목차

Ⅰ. 서론
Ⅱ. 박물관 전시와 역사주의의 결합 그리고 성찰: 선형적 시간관에서 共時間觀으로
Ⅲ. 전시 구성 방식으로서 共時間觀 강조의 함의
Ⅳ. 국내 역사계 박물관 전시 구성에의 시사점
Ⅴ.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조혜진. (2024).박물관 전시 구성에서 시간관 조형의 문제 - 박물관과 삶의 연관을 위한 탐색. 박물관학보, (), 1-30

MLA

조혜진. "박물관 전시 구성에서 시간관 조형의 문제 - 박물관과 삶의 연관을 위한 탐색." 박물관학보, (2024): 1-30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