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장애인의 경제활동 경험이 주관적 건강 만족도에 미치는 요인: 사회적 관계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이용수 238
- 영문명
- Factors Affecting Subjective Health Satisfaction of Disabled People’s Economic Activity Experience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 of social relationships-
- 발행기관
- 한국사례관리학회
- 저자명
- 장은정 박연실
- 간행물 정보
- 『사례관리연구』제15권 제1호, 283~306쪽, 전체 24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4.30
5,6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장애인의 경제활동 경험이 주관적 건강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서 사회적관계인 가족관계 및 지인관계 만족도와의 인과관계를 살펴봄으로써 장애인의 주관적 건강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직․간접 요인을 다양하게 규명해 보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장애인복지의 궁극적 목표인 모든 장애인이 존재해 있는 사회에 평등한 인간으로서 완전한 참여를 이루는 사회통합을 촉진할 수 있는 요인 중 하나로 장애인의 경제활동 욕구 해소 및 건강증진 방안에 중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경제활동 경험이 많은 장애인일수록 사회적관계(가족/지인)가 높고, 사회적관계(가족/지인)가 높은 장애인일수록 주관적 건강만족도도 높게 나타나는 결과를 보였다. 이러한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정책적인 제언을 하고자 한다. 첫째, 장애인들이 다양한 경제활동 경험을 통한 사회적관계(가족/지인) 만족도를 높일 수 있도록 전문성 강화를 위한 직업훈련체계를 구축하여야 한다. 둘째, 사회적관계 중 가족관계만족도가 경제활동 경험을 매개하여 장애인의 주관적 건강만족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침에 따라 가족관계 만족도 향상을 위한 지역사회의 가족친화 프로그램 제공 확대가 필요하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various direct and indirect factors that can improve the subjective health satisfaction of people with disabilities by examining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satisfaction with social relationships, family relationships and acquaintance relationships, in the effect of job search experience on subjective health satisfaction of people with disabilities. The main results of the analysis are as follows. It was found that people with disabilities who have more job search experience
have higher social relationships (family/acquaintances), and people with disabilities who have higher social relationships (family/acquaintances) have higher subjective health satisfaction. Based on our analysis, we make the following policy recommendations. First, a vocational training system should be established to strengthen the professionalism of people with disabilities so that they can increase the satisfaction of social relationships (family/acquaintances) through various job search experiences. Second, as family relationship satisfaction among social relationships has a significant effect on the subjective health satisfaction of people with disabilities through mediating job search experience, it is necessary to expand the provision of family-friendly programs in the community to improve family relationship satisfaction.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설계
Ⅳ. 연구결과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장애인의 고령화에 따른 돌봄 부담에 대한 탐색적 연구: 담화분석법을 중심으로
- 자살충동 노인에 관한 사례 분석: 네트워크와 매트릭스를 활용
- 노인 대상 비대면 사회서비스 제공 경험 및 효과적 제공 방안에 관한 연구: 종사자 FGI 분석을 중심으로
- 미혼모의 사회적 지지와 미혼모지원제도 인식 수준이 자립의지에 미치는 영향
- 호스피스 사회복지사의 감정노동이 소진에 미치는 영향: 회복탄력성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 장애인의 경제활동 경험이 주관적 건강 만족도에 미치는 요인: 사회적 관계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사회복지관 사례관리의 일 조직화에 대한 제도적 문화기술지
- 열악한 주거환경에서 청년의 결핍된 삶과 위기 경험: 지하방, 옥탑방, 고시원 거주 청년을 중심으로
- 학습목표지향성과 무형식학습은 통합사례관리 슈퍼바이저 역량에 영향을 미치는가? -팀장과 통합사례관리사 다중집단분석-
- 부모의 방임적 양육태도가 다문화청소년의 학업중단의도에 미치는 영향 -사회적 위축과 성취동기의 이중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휠체어 이용 장애인의 저상버스 이용 실태 및 경험에 관한 연구: 인천광역시를 중심으로
- 노인의 디지털 활용 교육 참여 경험
- 노인의 사회적 지지와 삶의 만족도 관계: 우울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사회복지학분야 NEW
- 장애인 1인 가구의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요인 : 성별에 따른 차이를 중심으로
- 정신장애인의 클럽하우스 이용 경험에 관한 개념도 연구
- 성인 중증장애인의 재난안전교육 경험 변화와 재난대응수행 변화와의 관계 : 사회관계망의 조절효과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