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열악한 주거환경에서 청년의 결핍된 삶과 위기 경험: 지하방, 옥탑방, 고시원 거주 청년을 중심으로

이용수 57

영문명
Young people’s deprived lives and crisis experiences in poor residential environments: Focusing on young people living in basements, rooftop rooms, and gosiwons
발행기관
한국사례관리학회
저자명
김윤민
간행물 정보
『사례관리연구』제15권 제1호, 151~182쪽, 전체 32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4.04.30
6,6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열악한 주거 환경으로 대표되는 지하방, 옥탑방, 고시원에 거주하는 청년의 경험에 주목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열악한 주거 환경이 형성한 집의 의미, 취약한 주거 공간에서의 삶과 위기 경험에 심도 있게 접근함으로써 청년의 열악한 주거 문제를 효과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정책 변화를 위한 실천적 시사점을 모색하기 위한 목적을 갖는다. 지하방, 옥탑방, 고시원에 거주한 경험이 있거나 현재 거주하고 있는 청년 대상의 심층인터뷰 분석을 통해 ‘열악한 주거 환경이 형성한 집의 의미’, ‘취약한 주거 공간에서 결핍된 청년의 삶’, ‘지역불균형 발전, 자본의 논리, 빈곤 대물림이 초래한 청년 주거빈곤’, ‘위기 상황에서 가중되는 열악한 주거 경험’, ‘위기 상황 해결에 무력한 정책’이라는 결과가 도출되었다. 특히 열악한 주거환경의 위험성은 코로나19 팬데믹과 집중 호우 등 위기 상황에서 심화되었으나 상황을 극복한 원동력은 주거지원 정책이 아닌 공동체적 가치와 연대였음을 발견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열악한 주거공간에서 청년이 경험하는 결핍 실태를 정확하게 파악하기 위한 청년 삶 실태조사 내용 보완, 대출 지원 중심 정책에서 행복주택, 청년안심주택의 주거비 부담 경감 및 지원 대상 확대로의 정책 방향 전환, 청년 주거지원 접근의 외연 확장, 청년 주거지원 정책 시행을 감시하고 견제할 수 있는 시민참여 모니터링단 구성, 청년의 열악한 주거 경험을 공유하고 공동체적 가치에 기반하여 대안을 모색할 수 있는 실천적 기반의 일환으로 온라인 플랫폼 구축을 제안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focused on the experiences of young people living in basements, rooftop rooms, and gosiwons, which represent poor living environments. Based on this, the purpose is to suggest an approach to effectively solve the poor housing problem of young people by taking an in-depth approach to the meaning of home formed by poor residential environments, life in vulnerable housing, and crisis experiences. As a result of in-depth interviews with young people who have lived or are currently living in basement rooms, rooftop rooms, and gosiwons, home was a temporary place for young people, and the poor living environment was the price they had to pay to achieve their dreams, but it was a proof of survival that they survived and lived hard. In particular, the risk of poor housing environments was aggravated in crisis situations such as the COVID-19 pandemic and torrential rain, but the driving force in overcoming this situation was community values and solidarity, not housing support policies. Accordingly, it is necessary to supplement the contents of the housing survey to accurately understand the current situation of young people who are threatened in poor spaces, and to shift from a policy centered on loan support to reducing the burden of housing costs for happy housing and youth-safe housing, and expanding support targets. In addition, we propose expanding the scope of the youth housing support policy and forming a citizen participation monitoring group that can monitor and check the implementation of the youth housing support policy. Lastly, we propose building an online platform where young people can share their poor housing experiences and seek alternatives based on community values.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분석결과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윤민. (2024).열악한 주거환경에서 청년의 결핍된 삶과 위기 경험: 지하방, 옥탑방, 고시원 거주 청년을 중심으로. 사례관리연구, 15 (1), 151-182

MLA

김윤민. "열악한 주거환경에서 청년의 결핍된 삶과 위기 경험: 지하방, 옥탑방, 고시원 거주 청년을 중심으로." 사례관리연구, 15.1(2024): 151-182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