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미혼모의 사회적 지지와 미혼모지원제도 인식 수준이 자립의지에 미치는 영향

이용수 324

영문명
The Effects of Social Support and Perception of the Supporting Policy on the Self-Reliance among Unmarried Mothers
발행기관
한국사례관리학회
저자명
윤혜인 최인덕
간행물 정보
『사례관리연구』제15권 제1호, 183~205쪽, 전체 23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4.04.30
5,5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미혼모의 사회적 지지와 미혼모지원제도 인식 수준이 자립의지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00미혼모협회 미혼모를 대상으로 145명의 자료를 최종분석에 활용하였다. 분석 결과, 사회적 지지의 하위요인 중 평가적 지지와 미혼모지원제도 인식수준의 하위요인 중 양육․돌봄이 자립의지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적(+)관계를 보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아래와 같이 제언하고자 한다. 첫째, 미혼모․부의 필요나 욕구에 부합되는 맞춤형 지원으로 관련 제도를 보완하고, 더불어 취업여부나 소득에 상관없이 기초수급 자격을 인정해줌으로써 미혼모들이 경제적으로 자립할 수 있도록 강력한 지원정책이 뒷받침되어야 한다. 둘째, 미혼모지원제도의 개별프로그램 홍보 강화, 전달체계 개선, 사회적 인식전환이 필요하다. 셋째, 미혼모들의 자립의지에 주관적 건강상태가 영향을 미치므로, 주관적 건강상태에 대한 인식을 높이기 위해 미혼모의 건강지원 및 정신건강 프로그램 등의 마련이 요구된다.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미혼모의 자립의지 향상을 위한 실천적 및 정책적 논의가 활성화되기를 바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effect of social support of unmarried mothers and the level of awareness of the unmarried mother support system on their will to become independent. To this end, data of 145 unmarried mothers in the 00 Unmarried Mothers Association were used for the final analysi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among the sub-factors of social support, evaluation support and parenting and care among the sub-factors of the level of recognition of the unmarried mother support system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 relationship with the will to become independent. Based on these research results, I would like to make the following suggestions. First, the related system should be supplemented with customized support that meets the needs and needs of unmarried mothers and fathers, and in addition, a strong support policy should be supported so that unmarried mothers can become economically independent by recognizing the qualifications for basic supply regardless of employment status or income. Second, it is necessary to strengthen the promotion of individual programs of the unmarried mother support system, improve the delivery system, and change social awareness. Third, since the subjective health status affects the will of unmarried mothers to become independent, it is required to prepare health support and mental health programs for unmarried mothers to raise awareness of the subjective health statu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 hope that practical and policy discussions to improve the will of unmarried mothers to become independent will be activated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론
참고 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윤혜인,최인덕. (2024).미혼모의 사회적 지지와 미혼모지원제도 인식 수준이 자립의지에 미치는 영향. 사례관리연구, 15 (1), 183-205

MLA

윤혜인,최인덕. "미혼모의 사회적 지지와 미혼모지원제도 인식 수준이 자립의지에 미치는 영향." 사례관리연구, 15.1(2024): 183-205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