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노인의 사회적 지지와 삶의 만족도 관계: 우울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이용수 257
- 영문명
- Relationship between social support and life satisfaction of the elderly: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 of depression
- 발행기관
- 한국사례관리학회
- 저자명
- 유재남 박상희
- 간행물 정보
- 『사례관리연구』제15권 제1호, 207~232쪽, 전체 26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4.30
5,9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노인의 사회적 지지가 우울 및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직접효과와 우울을 매개로 하여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매개효과를 파악하였다. 분석대상은 65세 이상 노인이며 국민노후보장패널데이터 6차년도 부가조사 자료와 7차년도 본조사 자료를 활용하였다. 분석방법은 다중회귀분석 및 매개효과 분석을 위해서 Baron과 Keney의 분석방법을 사용한후 Sobel test를 통해 유의도 검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첫째, 정서적 지지와 물질적 지지가 우울에 직접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정서적 지지, 정보적 지지 및 물질적 지지는 삶의 만족도에 직접효과가 있었다. 마지막으로, 사회적 지지에서 정서적 지지만 우울을 매개로 하여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부분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노인의 정서적 지지 강화를 통해 우울을 완화시켜 삶의 만족도를 제고할 수 있는 정책적 실천적 제언을 논의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identified the direct effect of social support on depression and life satisfaction in the elderly and the mediating effect on life satisfaction through depression. The subjects of analysis were seniors aged 65 years or older, and the 6th year supplementary survey data and 7th year main survey data of the National Old Age Security Panel Data were used. The analysis method used Baron and Keney's analysis method for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mediation effect analysis, and then verified significance through the Sobel test. To summarize the research results, first, emotional support and material support were found to have a direct effect on depression. Second, emotional support, informational support, and material support had a direct effect on life satisfaction. Lastly, in social support, only emotional support was found to have a partial mediating effect on life satisfaction through depression.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policy and practical suggestions that can improve life satisfaction by alleviating depression by strengthening emotional support for the elderly were discussed.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분석결과
Ⅴ. 결론 및 함의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장애인의 고령화에 따른 돌봄 부담에 대한 탐색적 연구: 담화분석법을 중심으로
- 자살충동 노인에 관한 사례 분석: 네트워크와 매트릭스를 활용
- 노인 대상 비대면 사회서비스 제공 경험 및 효과적 제공 방안에 관한 연구: 종사자 FGI 분석을 중심으로
- 미혼모의 사회적 지지와 미혼모지원제도 인식 수준이 자립의지에 미치는 영향
- 호스피스 사회복지사의 감정노동이 소진에 미치는 영향: 회복탄력성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 장애인의 경제활동 경험이 주관적 건강 만족도에 미치는 요인: 사회적 관계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사회복지관 사례관리의 일 조직화에 대한 제도적 문화기술지
- 열악한 주거환경에서 청년의 결핍된 삶과 위기 경험: 지하방, 옥탑방, 고시원 거주 청년을 중심으로
- 학습목표지향성과 무형식학습은 통합사례관리 슈퍼바이저 역량에 영향을 미치는가? -팀장과 통합사례관리사 다중집단분석-
- 부모의 방임적 양육태도가 다문화청소년의 학업중단의도에 미치는 영향 -사회적 위축과 성취동기의 이중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휠체어 이용 장애인의 저상버스 이용 실태 및 경험에 관한 연구: 인천광역시를 중심으로
- 노인의 디지털 활용 교육 참여 경험
- 노인의 사회적 지지와 삶의 만족도 관계: 우울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사회복지학분야 NEW
- 장애인 1인 가구의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요인 : 성별에 따른 차이를 중심으로
- 정신장애인의 클럽하우스 이용 경험에 관한 개념도 연구
- 성인 중증장애인의 재난안전교육 경험 변화와 재난대응수행 변화와의 관계 : 사회관계망의 조절효과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