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노인의 자살 충동과 삶의 질 사이에서 비활동 시간의 매개 효과와 조절 효과

이용수 41

영문명
Mediating and Moderating Effects of Sedentary Tim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Elderly Suicide Ideation and Quality of Life
발행기관
고령자・치매작업치료학회
저자명
조승현
간행물 정보
『고령자・치매작업치료학회지』제17권 제2호, 27~37쪽, 전체 11쪽
주제분류
의약학 > 의학일반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3.12.31
4,1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목적 : 본 연구는 자살 충동이 개인의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비활동 시간이 이러한 관계에서 어떠한 역할을 하는지 이해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특히, 노인을 대상으로 하여 초고령화 시대를 대비하는 데 도움이 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질병관리청의 국민건강영양조사 2019년과 2020년 원시자료를 활용하여 진행되었다. 만 65세 이상 노인 총 1,833건의 자료를 분석하였으며, 성별, 나이, 삶의 질, 인지된 스트레스 수준, 자살 충동, 신체 활동 여부, 주관적 건강, 비활동 시간, 우울증 진단 여부 등의 변수를 포함하였다. 자살 충동과 삶의 질의 관계를 분석하기 위해 회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비활동 시간의 매개 효과와 조절 효과를 분석하기 위해 Process Macro를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 자살 충동이 있는 집단에서 높은 스트레스 수준, 자살계획의 존재, 낮은 신체 활동 수준, 그리고 전반적인 삶의 질 저하가 있었었다. 주관적 건강 상태, 비활동 시간, 나이가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또한, 비활동 시간은 자살 충동과 삶의 질 사이의 관계에서 매개 역할을 할 뿐만 아니라 자살 충동을 조절하는 역할도 하는 것을 발견하였다. 결론 : 자살 충동이 삶의 질에 미치는 부정적 영향을 확인하고, 비활동 시간이 이 관계를 조절한다는 점이 밝혀졌다. 이러한 결과는 자살 예방 및 삶의 질 향상을 위한 전략 개발에 있어 중요한 시사점을 제공한다. 자살 충동을 겪는 이들에게 자살 충동을 감소시킬 수 있는 적절한 지원을 제공하고, 비활동 시간을 줄이는 생활양식 개선 등의 방안을 제언하며, 이를 통해 삶의 질을 증진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

영문 초록

Objective :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impact of suicidal ideation on individuals’ quality of life, and to understand the role of sedentary time in this relationship, with a focus on the elderly population in preparation for the era of super-aging. Methods : Utilizing raw data from the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s Korea National Health &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for the years 2019 and 2020, a total of 1,833 records were analyzed. Variables included gender, age, quality of life, perceived stress levels, suicidal ideation, physical activity status, subjective health, sedentary time, and depression diagnosis status.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suicidal ideation and quality of life, and the Process Macro was employed to analyze the mediating and moderating effects of sedentary time. Results : Among the group with suicidal ideation, there were higher levels of stress, presence of suicide plans, lower levels of physical activity, and an overall decrease in quality of life. Subjective health status, sedentary time, and age were identified as factors influencing quality of life. Moreover, sedentary time was found to play a mediating role as well as a moderating rol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uicidal ideation and quality of life. Conclusion : The study confirms the negative impact of suicidal ideation on quality of life and elucidates the moderating role of sedentary behavior in this relationship. These findings provide critical insights for the development of strategies aimed at suicide prevention and improving quality of life. Recommendations include providing appropriate support to those experiencing suicidal ideation and promoting lifestyle modifications to reduce sedentary time, thereby maintaining and enhancing quality of life.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고 찰
Ⅴ. 결 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조승현. (2023).노인의 자살 충동과 삶의 질 사이에서 비활동 시간의 매개 효과와 조절 효과. 고령자・치매작업치료학회지, 17 (2), 27-37

MLA

조승현. "노인의 자살 충동과 삶의 질 사이에서 비활동 시간의 매개 효과와 조절 효과." 고령자・치매작업치료학회지, 17.2(2023): 27-37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