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의료기관 종사자의 일과 삶의 균형이 조직효과성과 주관적 행복에 미치는 영향
이용수 33
- 영문명
- The Effect of the Work-Life Balance of Medical Institution Workers on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and Subjective Happiness
- 발행기관
- 고령자・치매작업치료학회
- 저자명
- 양기영 용미현
- 간행물 정보
- 『고령자・치매작업치료학회지』제17권 제2호, 139~146쪽, 전체 8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의학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12.31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목적 : 본 연구는 국내 의료기관 종사자들을 대상으로, 일과 삶의 균형 현황을 확인하고, 일과 삶의 균형이 조직효과성과 개인의 주관적 행복 간의 직⋅간접적 관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2021년 9월 3일부터 9월 23일까지 자료를 수집하였고 설문지는 총 300부를 직접 배포하여 최종 227부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1.0과 Amos 22.0 통계프로그램을 통해 분석하였다. 측정 도구는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연구목적에 맞게 수정하였고 일반적 특성 11문항, 일과 삶의 균형 13문항, 감정노동 4문항, 직무스트레스 8문항, 직무만족 5문항, 주관적 행복감 2문항으로 구성되었다. 연구결과 : 의료기관 종사자들의 일과 삶의 균형은 감정노동인 심층적 행동에 영향을 미치지는 않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직무스트레스는 감소시키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감정노동은 직무스트레스는 감소시키고, 직무만족은 증가시키는 결정적인 요인이라는 것이 확인되었다. 직무스트레스는 직무만족을 감소시킬 뿐만 아니라 주관적 행복을 감소시키는 요인이라는 것이 확인되었고, 감정노동과 주관적 행복감 간의 직접적인 관계는 확인되지 않았다. 결론 : 의료서비스와 같은 전문서비스 분야에 구성원들의 일과 삶의 균형에 대한 현황뿐만 아니라 일과 삶의 균형과 직무효과 간의 관계 연구를 확인하는데 다양한 이론적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다.
영문 초록
Objective : This study confirmed the current status of work-life balance for workers at domestic medical institutions, and confirmed the direct and indirect relationship between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and individual subjective happiness. Methods : Data was collected from September 3 to September 23, 2021, with a total of 300 surveys distributed. Among them, 227 surveys were ultimately used for analysi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statistical software, specifically SPSS 21.0 and Amos 22.0. The measurement tool was adapted based on previous research to be suitable for the circumstances of healthcare professionals. It consisted of a total of 39 items, categorized as follows: General Characteristics, Work-Life Balance, Emotional Labor, Job Stress), Job Satisfaction, Subjective Happiness. Results : The work-life balance of healthcare professionals was found not to significantly impact the profound emotional labor, but it was observed to reduce job stress. Additionally, emotional labor was identified as a decisive factor in decreasing job stress and increasing job satisfaction. Job stress not only diminishes job satisfaction but also has been confirmed as a factor decreasing subjective happiness. However, no direct relationship was found between emotional labor and subjective well-being. Conclusion : Studying the work-life balance of members in specialized service fields, such as healthcare services, not only provides insights into the current situation but also offers various theoretical perspectives in understanding the relationship between work-life balance and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고 찰
Ⅴ. 결 론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코로나19 이후 겪게 된 작업참여의 변화에 대한 질적 연구: 80세 이상 초고령 노인을 대상으로
- 노인의 자살 충동과 삶의 질 사이에서 비활동 시간의 매개 효과와 조절 효과
- 기초정신건강복지센터 제공 사업에 대한 중장노년층의 인식
- 한국 노인의 소득 변화와 건강 지표 간의 관계: 2022년 지역사회건강조사를 중심으로
- 고령자의 시지각 기능 향상을 위한 애플리케이션 개발 및 사용성 평가
- 국내 의료기관의 환자안전사고 관련 요인 분석: 2019-2022년 환자안전보고 데이터 활용 이차분석 연구
- 경도인지장애 노인의 일상생활 수행 능력증진을 위한 인지훈련 도구의 사용성 평가
- 뇌졸중 환자 가족돌봄제공자의 일반적 특성과 보호자의 심리적 요인간의 상관관계
- 요양병원 밤번 전담간호사의 근무 경험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 치매에 대한 지식, 태도, 노인부양의식 간 상관관계 연구: 부산 지역 대학생을 중심으로
- 고령자의 일상생활 증진을 위한 보드게임 애플리케이션 개발연구
- 노인들의 일상생활활동 및 인지 능력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 연구
- 의료기관 종사자의 일과 삶의 균형이 조직효과성과 주관적 행복에 미치는 영향
참고문헌
관련논문
의약학 > 의학일반분야 BEST
- 간호대학생의 인공지능 활용 간호수행 자신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국내 의료기관의 환자안전사고 관련 요인 분석: 2019-2022년 환자안전보고 데이터 활용 이차분석 연구
- 지역사회 인지저하 전·후기 노인의 건강 및 돌봄 요구 실태
의약학 > 의학일반분야 NEW
- Clinical outcomes of using demineralized dentin matrix bone grafts and HA-coated implants in medication-related osteonecrosis of the jaw
- Surface modification of Zr implants through Micro-Arc Oxidation and in-vitro evaluation of physiological reaction – A systematic review
- Prognosis of 3 mm diameter two-piece implants immediately placed after anterior teeth extraction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