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개항기(1876~1910) 중앙권력의 江華지역 군대 활용 양상 변화와 그 성격

이용수 49

영문명
The aspects of central power’s use of the military in the Ganghwa area from 1876 to 1910 and its characteristics
발행기관
동국역사문화연구소
저자명
김항기
간행물 정보
『동국사학』제78집, 245~273쪽, 전체 29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3.12.31
6,2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강화도는 전통적으로 수도방어의 핵심지역이면서, 섬이라는 지리적 특수성으로 전국 각 지역과 뱃길로는 연결되는 전략적으로 중요한 위치였기 때문에 고려와 조선시대에는 왕실의 피난처역할을 하였다. 하지만 우월한 해군력을 바탕으로 포함외교를 통해 동아시아를 침략한 제국주의 열강은 바다를 통한 침략을 시작했고 강화도 그 중심에 있었다. 대원군은 통상수교 거부정책의 핵심적인 방법으로 강화도의 군대를 활용하였다. 병인양요 직후인 1866년 10월 16일 沁都營造都監을 설치하고 1866년 11월 16일 진무영을 정2품 아문으로 승격시켜 진무영을 중앙군영과 동일한 지위에 위치시키면서 해방영으로 역할을 하도록 하였다. 하지만 고종이 친정을 시작한 이후 중앙권력의 국가정책은 대원군기와는 달리 통상수교 거부정책을 완화해 나가가면서 진무영을 중심으로 한 방어체계가 약화되었다. 이후 고종은 강화지역 군대는 중앙권력에 필요에 의해 권력행사의 도구로 활용하였다. 1894년 고종은 동학농민군 진압에 강화도 군대를 동원하였다. 또한 군대의 임무가 아닌 치안유지 활동에도 강화도 군대를 활용하였다. 중앙권력이 통감부로 이관되고 군대가 해산되면서 강화도 지역의 군대 역할은 다시 한번 변화하였다. 중앙권력의 행사 수단이었던 군대에서 새로운 중앙권력인 일제에 저항하는 군대인 의병으로 전환 된 것이다. 권력을 지키던 군대에서 권력에 저항하는 군대로 그 성격이 변화하면서 강화도 군대의 해산병들은 황해도를 비롯해 경기도ㆍ강원도 일대 의병항쟁에서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였다.

영문 초록

Ganghwa Island(江華島) traditionally served as a royal refuge during the Goryeo and Joseon periods because it was a key area of the water defense and was a strategically important location connected to each region across the country due to its geographical specificity as an island. However, the imperialist powers that invaded East Asia through inclusion diplomacy based on their superior naval power began to invade through the sea, and Ganghwa was also at the center of it. Daewongun(興宣大院君) used the troops of Ganghwa Island as a key method of the policy of rejecting trade diplomatic relations. On October 16, 1866, shortly after Byeonginyangyo, the Simdoyeongjodogam(沁都營造都監) was established, and on November 16, 1866, Jinmuyeong(鎭撫營) was promoted to Jeong 2-pum Amun to serve as a liberation camp while positioning Jinmuyeong in the same position as the central military camp. However, since Gojong(高宗) began his family’s government, the central power’s national policy has eased the policy of rejecting trade relations, unlike the Daewon-gun period, weakening the defense system centered on Jinmuyoung. Later, Gojong used the troops in Ganghwa as a tool for exercising power as needed by the central power. In 1894, Gojong mobilized Ganghwa Island troops to suppress Donghak Peasant Army. In addition, Ganghwa-do used the military for security maintenance activities, not military duties. As the central power was transferred to the Residency-General and the troops were dissolved, the military role in the Ganghwa Island region changed once again. It was converted from a military that was a means of exercising central power to a righteous army that resisted the new central power, Japanese imperialism. As its character changed from a military that kept power to a military that resisted power, the dissolution soldiers of the Ganghwa-do army played an important role in the righteous army resistance in Hwanghae-do, Gyeonggi-do, and Gangwon-do.

목차

Ⅰ. 머리말
Ⅱ. 개항 전후 강화지역 군대 상황
Ⅲ. 강화지역 군대 활용 양상
Ⅳ. 중앙권력 해체와 의병으로 전환
Ⅴ.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항기. (2023).개항기(1876~1910) 중앙권력의 江華지역 군대 활용 양상 변화와 그 성격. 동국사학, (), 245-273

MLA

김항기. "개항기(1876~1910) 중앙권력의 江華지역 군대 활용 양상 변화와 그 성격." 동국사학, (2023): 245-273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