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경주 황룡사지 하층 유구의 조성 시기와 성격

이용수 50

영문명
Construction Period and Characteristics of the Lower Layer Remains of the Hwangnyongsa Temple Site, Gyeongju
발행기관
동국역사문화연구소
저자명
이병호
간행물 정보
『동국사학』제78집, 5~48쪽, 전체 44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3.12.31
8,0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皇龍寺는 진흥왕이 553년 2월 王宮을 지으려고 했지만 黃龍이 출현하자 계획을 바꿔 569년에 사원이 완성된 것으로 기록돼 있다. 최근 황룡사지 최하층인 습지층과 대지조성층에서 출토된 토기와 기와에 관한 분석 결과, 553년 이전에 기초공사가 완료되고, 과거 1차가람으로 소개된 강당지 하층에서 드러난 口자형 건물지가 사원이 아닌 新宮 건설의 흔적으로 보아야 한다는 견해가 제기되었다. 그러나 이 논문에서는 그러한 주장이 성립하기 어렵다는 것을 논증하였다. 2장에서는 황룡사지 발굴에서 드러난 대지조성층의 구조와 특징을 소개하면서, 습지층과 대지조성층에서 발견된 토기류와 기와류의 상대편년을 재검토하였다. 그 결과 토기나 기와 대부분이 6세기 2/4분기 이전에 속하지만, 3/4분기 이후에 속하는 자료도 포함되어 있음을 확인하였다. 특히 원통형와통으로 제작된 암키와들이 대지조성층에서 확인된 점은 황룡사지의 대지조성이 553년 이후까지 순차적으로 이루어졌음을 보여주는 것이라 생각된다. 3장에서는 황룡사지 1차가람과 관련된 강당지 하층의 초기 건물군이 인도의 僧院이나 중국 雲崗石窟 상부 유적 등에 보이는 堂閣回周式 건물, 백제 부속건물지 등 僧房과 유사하다는 점을 명확히 하였다. 이러한 건물지들은 왕궁의 조영과 관련 시설이라기보다는 사원과 관련된 건물이라 할 수 있다. 황룡사지에서 발굴된 초기 건물지들과 출토 유물들은 진흥왕의 新宮 조영과 관련시켜 보기에는 여전히 자료적인 한계가 있다.

영문 초록

According to a historic record related to Hwangnyongsa Temple, King Jinheung of Silla originally planned to build a royal palace in February 553, but as a yellow dragon (hwangnyong) appeared, he changed his plan and had the temple built in 569. As a result of a recent analysis of earthenware and roof tiles discovered in the wetland layer and the land formation layer, which are the bottom layers of the site of Hwangnyongsa Temple, a theory has emerged to the effect that the foundation work must have been completed before 553 and that, judging from the discovery of a square-shaped building site in the lower layer of the auditorium site, which was previously identified as the first Buddhist temple, the building site should be viewed as the traces left by the construction of a new palace rather than a temple. However, this study aims to prove that such a claim is difficult to validate. Chapter 2 of this study paper begins by introducing the structure and characteristics of the land formation layer discovered during the excavation of the Hwangnyongsa Temple site, and then it reexamines the chronological sequence of the pottery and roof tiles excavated from the wetland layer and the land formation layer. As a result, it has been confirmed that most of the pottery and roof-tile artifacts date from the second quarter of the sixth century, while some artifacts, including materials, date from the third quarter of the same century or later. In particular, as cylindrical concave roof tiles were unearthed from the land formation layer, it is understood that the land formation of the Hwangnyongsa Temple Site was carried out gradually until sometime after 553. Chapter 3 asserts that the early buildings found in the lower layer of the auditorium site, which is related to the first Buddhist temple of the Hwangyongsa Temple Site, are similar to the remains of a Buddhist nunnery of India, the remains of Zhou Dynasty style buildings found among the ruins at the Yungang Grottoes, and those of a Buddhist nunnery at a temple annex building site of Baekje. As such, one may conclude that these building sites are the remains of facilities related to a temple rather than the construction of a royal palace. Therefore, it seems that there are still limitations in relating the early building sites and artifacts excavated from the Hwangnyongsa Temple Site to the construction of King Jinheung’s new palace.

목차

Ⅰ. 머리말
Ⅱ. 대지조성층의 특징과 조성 시기
Ⅲ. 강당지 하층 초기 건물군의 성격
Ⅳ.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병호. (2023).경주 황룡사지 하층 유구의 조성 시기와 성격. 동국사학, (), 5-48

MLA

이병호. "경주 황룡사지 하층 유구의 조성 시기와 성격." 동국사학, (2023): 5-48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