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신라 淨衆無相과 大聖慈寺의 창건

이용수 25

영문명
Foundation of Daeseongjasa Temple and Silla Jeongjung Musang
발행기관
동국역사문화연구소
저자명
간행물 정보
『동국사학』제78집, 85~114쪽, 전체 30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3.12.31
6,4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그동안 중국의 사천지방에서 활약하였던 신라 淨衆無相(684~762)에 관련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었다. 무상 선사가 초기 선종사에서 차지하는 비중에 대한 문제, 티벳불교에 미친 영향력, 그리고 무상의 선사상 등을 다룬 연구논문들이 한·중·일 삼국의 불교학자들에 의해서 나오고 있다. 이렇게 정중무상에 관한 연구들의 전반적인 경향을 검토해 볼 때 한 가지 아쉬운 점이 발견된다. 그것은 정주무상과 대성자사(大聖慈寺)의 창건에 대한 배경 설명이 누락되어 있다는 점이다. 지금 중국 쓰촨성 청두시 대성자사는 안사의 난 때 당현종(唐玄宗, 685-762, 재위 712-756)의 지원으로 건설된 후 점차 서남(西南) 제일의 사찰로 발전하였다. 정중무상은 신라 왕족으로, 당현종이 피난할 때 대자사의 건립 과정에서 규제(規制)를 세우라는 명을 받아 발기부터 입제(立制)까지 무상이 모두 중요한 역할을 하였던 것이다. 무상은 당나라 선종 전승에서 중요한 인물로 거론되었지만, 대성자사와 맺은 관계는 지금까지도 충분히 조명되지 않았다. 그래서 이 논문에서 불교 문헌 자료를 바탕으로 중국학자들의 연구를 참고하면 무상의 입당과 수행에 대해서 재검토하고, 불교에 대한 당현종의 태도와 연계하여 이것이 무상에게 대성자사의 규제를 맡긴 원인임을 밝혔다.

영문 초록

This study related to Jeongjung Musang, which was active in China’s Sichuan Province, has been actively conducted. Research papers dealing with the issue of the proportion of free prehistory in the early Seonjongsa Temple, the influence on Tibetan Buddhism, and the free prehistory are being published by Buddhist scholars from the three countries of Korea, China, and Japan. When reviewing the overall trend of studies on Jeongjung Musang in this way, one regret is found. It is that the background explanation of Jeongjung Musang and the foundation of Daeseongjasa Temple is omitted. Now Daeseongjasa Temple in Chengdu, Sichuan Province, China, was built with the support of Tang Hyeon-jong during the Ansa War and gradually developed into the best temple in the southwest region. It is Jeongjung Musang, the Buddhist monk of Silla, who was ordered to build this temple. Jeongjung Musang was mentioned as an important figure in the transmission of the Tang Dynasty’s Seon Buddhism, but the relationship I had with Daesungjasa has not been sufficiently illuminated until now. Therefore, in this paper, through Chinese Buddhist literature, we reviewed the form of gantong of Jeongjung Musang and revealed that this was the reason why we entrusted Jeongjung Musang to build Daeseongjasa Temple in connection with Tang Xuanzong’s attitude toward Buddhism.

목차

Ⅰ. 머리말
Ⅱ. 大聖慈寺의 창건과 淨衆無相
Ⅲ. 정중무상과 당현종
Ⅳ.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 (2023).신라 淨衆無相과 大聖慈寺의 창건. 동국사학, (), 85-114

MLA

. "신라 淨衆無相과 大聖慈寺의 창건." 동국사학, (2023): 85-114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