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재난심리회복지원센터 상담가의 이차적 외상스트레스 회복경험에 관한 혼합연구
이용수 95
- 영문명
- The Title A Mixed Study on the Secondary Trauma Stress Recovery Experience of Counselors at Disaster Psychological Recovery Support Center
- 발행기관
- 한국교류분석상담학회
- 저자명
- 황수연 이윤지 신성희
- 간행물 정보
- 『교류분석상담연구』제13권 제2호, 1~27쪽, 전체 27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심리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12.31
6,0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재난심리회복지원센터 상담가의 이차적 외상스트레스 회복경험을 다각도로 탐색하고 상담가의 정신건강 안전을 관리할 수 있는 방안을 도출하는 것을 목적으로 혼합연구방법의 순차적 설명 설계를 활용하였다. 연구결과 양적연구의 설문조사에서는 재난상담가들의 이차적 외상스트레스 정도는 비교적 낮고, 회복 역시 잘 이루어진 것으로 조사되었다. 더불어 재난상담가의 이차적 외상스트레스를 회복하는 과정에서 직무자원의 소명감과 전문성 개발 기회가 도움이 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후 이차적 외상스트레스가 비교적 높은 집단과 낮은 집단을 구분하였고, 각 집단에 속하는 재난상담가를 대상으로 개별 심층 인터뷰를 진행하였다. 그 결과 재난상담가 개인적 외상 경험과 재난 상황의 심각성에 따라 이차적 외상스트레스 정도의 차이가 있는 것으로 해석되었다. 더불어 재난상담가를 대상으로 하는 이차적 외상스트레스 회복 지원 체계가 부재함에 따라 재난상담가들은 스스로 이차적 외상스트레스 회복을 위해 전문적 또는 일상적 노력을 시도하였다. 하지만 개인 차원에서 회복은 한계가 있음에 따라, 본 연구는 상담가의 정신건강이 건강하게 유지될 수 있도록 재난상담가를 위한 이차적 외상스트레스 증상 존재 여부 확인 시스템과 상담 및 슈퍼비전 체계의 마련을 제언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used a sequential explanation design with mixed research methods to explore the recovery experience of counselors at the Disaster Psychological Recovery Support Center who have been exposed to secondary trauma stress. As a result of the study, in a survey of quantitative studies, the degree of secondary trauma stress of disaster counselors was relatively low, and recovery was also well achieved. In addition, it was analyzed that in the process of recovering secondary trauma stress of disaster counselors, opportunities to develop job resources and expertise were helpful. Since then, the researchers classified the counselors into groups with high and low levels of secondary trauma stress and conducted individual in-depth interviews with counselors from each group. The findings suggested that the degree of secondary trauma stress varied depending on the counselors' personal trauma experiences and the severity of the disaster situations they encountered. Additionally, due to the absence of a secondary trauma stress recovery support system specifically designed for disaster counselors, the counselors made efforts on their own to recover from secondary trauma stress through professional and daily endeavors. However, as recovery is limited at the individual level, this study suggested the establishment of a secondary trauma stress symptom check system, counseling, and supervision system for disaster counselors to keep the counselor's mental health healthy.
목차
Ⅰ. 서론
Ⅱ. 문헌고찰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논의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재난심리회복지원센터 상담가의 이차적 외상스트레스 회복경험에 관한 혼합연구
- 어린이집 교사가 지각한 원장의 감성 리더십이 교사-아동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교사 효능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사회복지사의 상담에 대한 인식과 상담 활동의 실제
- 한국 중년여성의 직업 불안 지각과 삶의 만족도 간의 관계 -성취 만족도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군 초급지휘자 대학생의 리더십 함양을 위한 코칭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성 검증
- 노인의 사회관계망과 활동적 노화의 관계에서 희망감의 매개효과
- 직무스트레스가 사회복지사의 삶의 만족에 미치는 영향 -소진과 우울의 매개효과-
- 대학생의 단절 및 거절도식과 진로적응성의 관계에서 자기자비와 정서인식명확성의 매개효과
- ‘Q방법’을 활용한 사회복지기관 취업모의 ‘둘째 자녀 출산기피’ 요인에 대한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심리학분야 NEW
- 효과적 양육지식척도의 타당화 연구
- 어머니의 공감적 양육태도가 남녀 아동의 공감능력에 미치는 영향: 애착과 정서조절능력의 매개효과
- 취학 전 유아의 의도적 통제가 교사-유아 친밀-갈등관계를 다중병렬매개로 또래수용성에 미치는 영향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