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effect of job stress on social worker’s life satisfaction -the mediating effects of burnout and depression-
- 발행기관
- 한국교류분석상담학회
- 저자명
- 문유정 김선구 송준석
- 간행물 정보
- 『교류분석상담연구』제13권 제2호, 199~221쪽, 전체 23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심리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12.31
5,5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사회복지사를 대상으로 직무스트레스, 소진과 우울이 삶의 만족에 미치는 영향력을 검증하는 것이다. 그리고 직무스트레스와 삶의 만족 관계에서 소진과 우울의 단일매개효과와 순차적 매개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전라남도 사회복지사 207명으로부터 자료를 수집하여 SPSS 21.0 및 SPSS Process Macro v3.4로 빈도분석, 기술통계, 상관관계 분석, 매개효과 유의성을 검증하였다. 연구결과, 직무스트레스와 소진은 삶의 만족에 부(-)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직무스트레스와 소진이 증가할수록 삶의 만족이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우울은 삶의 만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직무스트레스와 삶의 만족 관계에서 소진의 매개효과가 확인되어 직무스트레스는 소진을 높여 삶의 만족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우울의 매개효과는 나타나지 않았다. 셋째, 직무스트레스와 삶의 만족 관계에서 우울과 소진의 순차적 매개효과가 확인되어 직무스트레스는 우울과 소진을 순차적으로 증가시켜 삶의 만족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에 근거하여 사회복지사의 삶의 만족을 높이기 위해 직무스트레스, 우울과 소진을 감소시키는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의 중요성을 제안하였다.
영문 초록
The study is to verify the influence of job stress, burnout, and depression on life satisfaction for social workers. In addition, it is to verify the single and sequential mediating effects of burnout and depress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stress and life satisfaction. To achieve the purpose of the study, data were collected from 207 social workers in Jeollanam-do and the significance of frequency analysis, technical statistics, correlation analysis, and mediating effects was verified with SPSS 21.0 and SPSS Process Macro v3.4. As a result of the study, it was found that job stress and burnout had a negative (-) effect on life satisfaction. In other words, it was found that life satisfaction decreased as job stress and burnout increased. However, depression was found to have no significant effect on life satisfaction. Second, the mediating effect of burnout was confirme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stress and life satisfaction. In other words, job stress was found to increase burnout and reduce life satisfaction. However, there was no mediating effect of depression. Third, the sequential mediating effect of depression and exhaustion was confirme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stress and life satisfaction. In other words, job stress was found to reduce life satisfaction by sequentially increasing depression and burnout.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tudy, the importance of developing and applying in programs that reduce job stress, depression and burnout was proposed to increase the satisfaction of social workers in their lives.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논의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재난심리회복지원센터 상담가의 이차적 외상스트레스 회복경험에 관한 혼합연구
- 어린이집 교사가 지각한 원장의 감성 리더십이 교사-아동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교사 효능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사회복지사의 상담에 대한 인식과 상담 활동의 실제
- 한국 중년여성의 직업 불안 지각과 삶의 만족도 간의 관계 -성취 만족도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군 초급지휘자 대학생의 리더십 함양을 위한 코칭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성 검증
- 노인의 사회관계망과 활동적 노화의 관계에서 희망감의 매개효과
- 직무스트레스가 사회복지사의 삶의 만족에 미치는 영향 -소진과 우울의 매개효과-
- 대학생의 단절 및 거절도식과 진로적응성의 관계에서 자기자비와 정서인식명확성의 매개효과
- ‘Q방법’을 활용한 사회복지기관 취업모의 ‘둘째 자녀 출산기피’ 요인에 대한 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