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대학생의 단절 및 거절도식과 진로적응성의 관계에서 자기자비와 정서인식명확성의 매개효과
이용수 34
- 영문명
- The Mediating Effects of Self Compassion and Emotional Awareness Clarit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Disconnection and Rejection Scheme and Career Adaptability in University Students
- 발행기관
- 한국교류분석상담학회
- 저자명
- 지민경 김명연 김장회
- 간행물 정보
- 『교류분석상담연구』제13권 제2호, 179~198쪽, 전체 2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심리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12.31
5,2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들의 진로적응성 향상 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단절 및 거절도식이 진로적응성에 미치는 영향과 두 변인 간의 관계에서 자기자비와 정서인식명확성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경상남도에 소재한 4년제 대학교 재학생 중에서 무선으로 표집한 375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이중, 불성실 응답으로 판단된 8명의 자료를 제외한 최종 367명의 자료가 분석에 사용되었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5.0과 AMOS 21.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단절 및 거절 도식은 자기자비와 정서인식명확성에 각각 부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주었고, 진로적응성과는 의미 있는 관계가 확인되지 않았다. 팬텀변인을 활용한 매개효과 검증 결과, 자기자비와 정서인식명확성은 단절 및 거절 도식과 진로적응성의 관계를 각각 매개하였으며, 자기자비와 정서인식명확성의 순차적 매개효과가 확인되었다. 결과를 바탕으로 대학생 상담과 진로지도 장면에서의 함의와 노력할 점 등이 논의되었으며 본 연구의 제한점 및 향후 연구 방향이 제안되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tried to verify the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among disconnection and rejection, emotional awareness clarity, self compassion, and career adaptability of university students. Through this, this study seeks to ways to enhance career adaptability of university students. For this, a survey executed to 375 university students who selected by random sampling in Gyeongnam province. Total 367 data which excluded unfaithful cases analyzed consequently through SPSS 25.0 and AMOS 21.0 program. According to the analysis, the disconnection and rejection schema negatively affects to self compassion and emotional awareness clarity, but have not found significant relationships to career adaptation. The self compassion and emotional awareness clarity partly mediate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disconnection and rejection schema and career adaptability. Also, the sequential mediating effects are discovered in the verification of mediation effects using phantom variable. Implications and efforts in the fields of college counseling and career education are discussed based on the results. In addition,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further study directions are suggested.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재난심리회복지원센터 상담가의 이차적 외상스트레스 회복경험에 관한 혼합연구
- 어린이집 교사가 지각한 원장의 감성 리더십이 교사-아동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교사 효능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사회복지사의 상담에 대한 인식과 상담 활동의 실제
- 한국 중년여성의 직업 불안 지각과 삶의 만족도 간의 관계 -성취 만족도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군 초급지휘자 대학생의 리더십 함양을 위한 코칭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성 검증
- 노인의 사회관계망과 활동적 노화의 관계에서 희망감의 매개효과
- 직무스트레스가 사회복지사의 삶의 만족에 미치는 영향 -소진과 우울의 매개효과-
- 대학생의 단절 및 거절도식과 진로적응성의 관계에서 자기자비와 정서인식명확성의 매개효과
- ‘Q방법’을 활용한 사회복지기관 취업모의 ‘둘째 자녀 출산기피’ 요인에 대한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심리학분야 NEW
- 노인의 초기 애착이 죽음 인식에 미치는 영향: 성인 애착과 삶의 만족의 직렬다중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대학생의 애착불안정성과 우울감의 관계: 사회비교 경향성과 소속감의 다중매개효과
- 복합적 사별을 경험한 가족의 메타버스 VR 기반 가족애도상담 사례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