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자기수용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이용수 120

영문명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Self-Acceptance Scale
발행기관
경인교육대학교 교육연구원
저자명
양곤성 김광수
간행물 정보
『교육논총』제43권 제3호, 123~137쪽, 전체 15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3.09.30
4,6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있는 그대로의 자신을 받아들이고 가치 있게 여기는 정도를 측정하는 다차원적 자기수용 척도를 개발하고 타당화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첫째, 척도개발을 위해 David 외(2013)의 자기수용 척도를 번안하고, 선행 연구를 바탕으로 각 영역별로 문항을 추가하여 총 48문항의 예비문항을 제작하였다. 둘째, 상담교육 전문가와 일반인을 통해 예비문항의 내용타당도와 안면타당도를 검증 받았고, 수정 및 보완 의견을 반영하여 44문항의 예비척도를 구성하였다. 셋째, 242명의 대학생을 대상으로 예비 자기수용 척도 검사를 실시하였다. 자료에 대해 문항분석과 탐색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여 능력, 외모, 성격 수용의 3영역으로 구성된 20문항을 도출하였다. 넷째, 197명의 대학생을 대상으로 20문항의 자기수용 척도와 준거타당도 변인에 대한 검사를 실시하였다. 확인적 요인분석을 결과 본 척도는 구인타당성, 집중타당성 및 판별타당성이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다섯째, 자기수용 척도의 전체 척도 및 하위 영역별 신뢰도는 모두 높은 수준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본 척도와 무조건적 자기수용, 자존감, 삶의 만족도, 비합리적 신념, 불안, 우울과의 상관분석 결과가 모두 유의미하게 나타나 척도의 준거타당성이 검증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개발된 자기수용 척도는 영역별 수용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여 보다 정교하게 자기수용을 측정할 수 있기 때문에 개별화된 자기수용 관련 상담교육을 실행하는 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영문 초록

This study has aimed to develop and validate a scale to measure self-acceptance for college students. To develop the self-acceptance scale of David et al. (2013), its idea was translated and items were added based on a review of theoretical literature. Forty-eight preliminary items of measurement were decided. Among these items, counseling education experts evaluated the content validity, general people evaluated the face validity, and with these assessments, a preliminary scale of 44 items was produced. These 44 items were applied to 242 college students. After item and exploratory factor analyses, 20 items pertaining to 3 factors of self-acceptance remained to constitute the final scale. The subscales of the self-acceptance scale are established as ability, appearance, and personality acceptance. To further validate the scale for the remaining 20 items, multiple analyses were conducted with 197 college students.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is applied to establish these 20 items through construct, convergent, and discriminant validity measures. Criterion validity was established through correlation analyses with unconditional self-acceptance, self-esteem, life satisfaction, irrational beliefs, depression, and anxiety scales. Since this self-acceptance scale developed through this study can provide an in-depth measurement of self-acceptance by providing domain-specific information on self-acceptance, it will be able to contribute to the implementation of individualized self-acceptance related counseling education.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 의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양곤성,김광수. (2023).자기수용 척도 개발 및 타당화. 교육논총, 43 (3), 123-137

MLA

양곤성,김광수. "자기수용 척도 개발 및 타당화." 교육논총, 43.3(2023): 123-137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