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예비 초등교사의 영어 교수 불안감과 교사 변인 간의 관계 분석
이용수 74
- 영문명
- Relationship Analysis of English Teaching Anxiety and Pre-Service Elementary School Teachers
- 발행기관
- 경인교육대학교 교육연구원
- 저자명
- 박영예
- 간행물 정보
- 『교육논총』제43권 제3호, 27~41쪽, 전체 15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9.30
4,6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예비 초등교사 101명을 대상으로 영어 교과를 가르칠 때 나타나는 교수 불안감과 교사 변인 간에 어떤 관련이 있는지 알아보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4학년 예비교사들도 선행연구의 다른 예비교사들과 마찬가지로 예기치 않은 교수 상황에 대처하는 것에 대한 불안감이 가장 높았으며, 또한 자신들의 교수능력에 대한 불안감도 높아서 수업에서 불안감을 현실적으로 극복하는데 더 도움이 될 수 있는 실제적인 극복전략의 사용이 많았다. 둘째, 영어 구사 능력에 자신이 없는 예비교사들은 영어 능력에 스스로 불안감을 느끼게 되어 자연스럽게 영어 교수에 대한 자신감도 낮게 평가하는 경향이 있고, 결과적으로 영어 교수 과정에서 높은 교수 불안감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예비교사로서 스스로 전반적인 교수 능력이 우수하다고 평가하는 집단은 영어 구사 능력도 우수하며 영어 교수 자신감도 높기 때문에 영어를 가르칠 때 느끼는 교수 불안감도 낮았다. 이들은 모든 교과에서 두루 적용 가능한 심리적 극복전략을 상대적으로 더 많이 사용하였다. 넷째, 실제 영어 교수 능력을 예측할 수 있는 유의미한 변수는 영어 교수 자신감이며 이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예측 변수는 영어 능력 불안감과 전반적 교수 능력 자신감인 것으로 분석되었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English teaching anxiety of 101 pre-service elementary school teachers and teacher variables. The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senior pre-service teachers and other prospective teachers have the highest level of anxiety about coping with unexpected teaching situations as well as about their teaching skills. They use coping strategies to overcome these anxieties. Second, those who are not confident in their English proficiency tend to feel insecure about their English teaching skills and naturally underestimate their abilities. This group of teacher variable also had high anxiety in teaching. Third, pre-service teachers who self-evaluated as having excellent overall teaching skills had low teaching anxiety because they had excellent English proficiency and high confidence in their English teaching skills. They used stress management strategies that are applicable for teaching in general. Fourth, a significant variable that can predict English teaching ability is English teaching confidence, and important predictors that affect this variable are English teaching anxiety and overall confidence in teaching.
목차
Ⅰ. 연구 필요성 및 목적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대상 및 연구 방법
Ⅳ. 결과 및 논의
Ⅴ. 결론 및 제언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청소년 진로적응력 특징 및 영향요인 탐색
- 자기수용 척도 개발 및 타당화
- ‘음악 개념에 기초한 유아음악교육’ 수업에 대한 사전지식 수준별 집단의 효과 분석
- 2022 개정 초등학교 사회과 교육과정 성취기준 진술 내용 분석
- 유치원 교사의 창의적 인성과 전문성 인식이 놀이교수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 학교활력 인식과 수업개선활동 및 교사효능감 간의 구조적 관계
- 대학교수가 스포츠교육학 강좌에서 주목한 내용 측면
- 예비 초등교사의 영어 교수 불안감과 교사 변인 간의 관계 분석
- 초등학생 대상의 인공지능 교육 플랫폼에 대한 전문강사의 인식조사
- 초등학교 예비교사의 초등무용교육 개념 이해 및 지도 가능한 내용 탐색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