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학교활력 인식과 수업개선활동 및 교사효능감 간의 구조적 관계
이용수 76
- 영문명
- Study on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Perception of School Vitality, Class Improvement Activities, and Teacher Efficacy
- 발행기관
- 경인교육대학교 교육연구원
- 저자명
- 신창기 이재덕 경미선
- 간행물 정보
- 『교육논총』제43권 제3호, 59~73쪽, 전체 15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9.30
4,6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는 학교활력 인식과 수업개선활동 및 교사효능감 간의 구조적 관계를 파악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경기교육종단연구 9차년도(2020년) 자료를 기반으로 SPSS 26.0과 AMOS 22.0을 활용한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학교활력 인식은 교사의 수업개선활동에 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교사들은 학교활력을 높게 인식할수록 수업개선활동에 더욱 활발히 참여하였다. 둘째, 수업개선활동은 교사효능감에 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수업개선활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할수록 교사효능감을 높게 인식하고 있었다. 셋째, 학교활력 인식은 교사효능감에 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학교활력을 높게 인식할수록 교사효능감을 높게 인식하고 있었다. 넷째, 학교활력 인식은 수업개선활동을 매개로 하여 교사효능감에 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학교활력을 높게 인식하는 교사들은 수업개선활동에 더욱 활발하게 참여하였고 이러한 수업개선활동의 활발한 참여는 교사들의 교사효능감 인식 수준을 높이는 결과를 가져왔다. 본 연구는 학교활력 인식과 수업개선활동, 교사효능감 간의 관계를 실증적으로 밝혔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으며, 연구 결과에 더하여 시사점과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dentify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the perception of school vitality, class improvement activities, and teaching efficacy. The analysis was made using SPSS 26.0 and AMOS 22.0 software and was conducted on the basis of the 9th year (2020) of the Gyeonggi Education Longitudinal Study. The study points to the following: 1. The perception of school vitality had a positive effect on teachers’ class improvement activities. Teachers were more actively involved in class improvement activities when they perceived school vitality to be high. 2. Class improvement activities had a positive effect on teachers’ efficacy. The more the teachers actively participated in class improvement efforts, the higher the perception of the teachers’ efficacy. 3. The perception of school vitality had a positive effect on teachers’ efficacy. The stronger the perception of school vitality, the greater the perception of teachers’ efficacy. 4. The perception of school vitality had a positive effect on teachers’ efficacy, as realized through class improvement activities. Teachers who perceived high school vitality participated more actively in class improvement activities, which, in turn, led to an increase in the level of teachers’ perception in their efficacy. The importance of this study is that it empirically established the relationship between school vitality perception, class improvement activities, and teachers’ efficacy and has also suggested implications of this relationship and the necessity of follow-up research.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결론 및 논의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청소년 진로적응력 특징 및 영향요인 탐색
- 자기수용 척도 개발 및 타당화
- ‘음악 개념에 기초한 유아음악교육’ 수업에 대한 사전지식 수준별 집단의 효과 분석
- 2022 개정 초등학교 사회과 교육과정 성취기준 진술 내용 분석
- 유치원 교사의 창의적 인성과 전문성 인식이 놀이교수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 학교활력 인식과 수업개선활동 및 교사효능감 간의 구조적 관계
- 대학교수가 스포츠교육학 강좌에서 주목한 내용 측면
- 예비 초등교사의 영어 교수 불안감과 교사 변인 간의 관계 분석
- 초등학생 대상의 인공지능 교육 플랫폼에 대한 전문강사의 인식조사
- 초등학교 예비교사의 초등무용교육 개념 이해 및 지도 가능한 내용 탐색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국가 차원 인재양성 정책의 실효성 제고를 위한 「국가인재양성기본법」 제정 방안
- 고교 성취평가제 도입의 공공가치 분석: Bozeman의 공공가치 실패 모형을 중심으로
- 교육의 정치적 중립성의 헌법 편입과 제도화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