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대학 재학 중 진로‧취업 지원 프로그램 참여 유형과 효과성 분석: 대학 전공지식의 유용성에 미치는 영향을 중심으로
이용수 123
- 영문명
- Analysis of Participation Types and Effectiveness of Career and Employment Support Programs for University Students
- 발행기관
- 부산대학교 교육발전연구소
- 저자명
- 우선영 김나영
- 간행물 정보
- 『교육혁신연구』제33권 제3호, 331~355쪽, 전체 25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9.30
5,8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연구목적: 이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의 진로·취업 지원 프로그램 참여 경험의 다면적인 특성을 살펴보고자 대학 재학 중 진로·취업 지원 프로그램 참여 경험을 유형화하고, 대학 전공지식의 유용성을 중심으로 참여 유형의 효과성을 분석하는데 있다. 연구방법: ‘2020 대졸자 직업이동 경로조사(2019 GOMS)’ 자료와 대학공시자료를 병합하여 최종적으로 2018년 8월과 2019년 2월에 졸업한 4년제 대학 졸업생 6,169명의 자료를 활용하여 잠재계층분석(LCA)과 다층모형분석(HLM)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잠재계층분석(LCA) 결과, 대학 재학 중 진로·취업 지원 프로그램 참여 경험은 ‘기업채용 설명회 중심형’, ‘다경험 집단’, ‘저경험 집단’, ‘교과목 수강 및 상담 중심형’, ‘무경험집단’의 5개의 잠재 유형으로 구분되었다. 둘째, 2수준 다층모형(HLM) 분석 결과, 학생 및 대학 수준 공변수를 통제하였을 때, ‘교과목 수강 및 상담 중심형’ 유형만이 대학 전공 지식의 유용성에 유의한 정적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대학 전공지식의 유용성은 삶의 만족도, 졸업 전 취업목표 유무, 부모 학력, 대학 평균 취업률, 대학소재지 등 학생 및 대학 수준 변수에 유의한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논의 및 결론: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대학생의 진로·취업 지원 프로그램 참여를 장려하기 위한 시사점에 대해 논의하였다.
영문 초록
Purpose: The study aims to categorize the latent classes of the college students' participation in career and employment preparation programs and to analyze the effectiveness of each latent class on the usefulness of college major knowledge. Method: Data from the 2019 GOMS(Graduates Occupational Mobility Survey) and the Information Service of Higher Education(AcademyInfo) were used for the analysis. By using data of 6,169 four-year college graduates who graduated in August 2018 and February 2019, latent class analysis(LCA) and hierarchical linear modeling(HLM) were conducted. Results: First, the results of latent class analysis (LCA) show that university students’ experiences in career and employment preparation programs were classified into five types: ‘company recruitment-oriented group’, ‘multi-experience group’, ‘low-experience group’, ‘course enrollment and counseling-oriented group’, and ‘no-experience group’. Second, when controlling for student and university level covariates, the hierarchical linear modeling (HLM) analysis revealed that only the ‘course enrollment and counseling-oriented group’ had a significant positive impact on the usefulness of college major knowledge. Third, university students’ individual characteristics (i.e., life satisfaction, pre-graduation employment goals, and parental education) as well as university characteristics (i.e., average employment rates of university, and university location) were significantly related to the utility of major-specific knowledge. Conclusion: The main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Based on these findings, implications for promoting effective participation of college students in career and employment support programs were discussed.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논의 및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놀이 중심 유아교육과정의 교육내용 탐구 : 유아교사의 인식과 이해를 중심으로
- 유아특수교사의 「2019 개정 누리과정」 실행 경험 연구에 대한 질적 메타분석: 행위성(Agency) 발견하기
- 고등학교 특수학급 교사의 진로와 직업교육 경험 분석
- 메타분석의 내적타당성 확보를 위한 1차 연구의 질 평가에 대한 고찰
- 대학 재학 중 진로‧취업 지원 프로그램 참여 유형과 효과성 분석: 대학 전공지식의 유용성에 미치는 영향을 중심으로
- 대학생의 학습성과 잠재계층 분류 및 영향요인 탐색 : 지방 A 대학 재학생을 대상으로
- 특수교육대상학생의 메타버스 활용 교육에 대한 특수교사와 일반교사의 실태와 인식
- 회복적 생활교육의 서클활동 프로그램이 고등학생의 학교소속감과 사회적 책임감에 미치는 영향
- 척수장애인의 후천적 장애로 인한 내적 갈등 경험에 관한 내러티브 탐구
- 유아의 놀이 사례에 나타난 ‘과학적 배움’ 분석: 「2019 개정 누리과정」놀이운영사례집을 중심으로
- 대화 분석을 통한 사회정서역량 측정 애플리케이션 개발 - ChatGPT API를 이용하여 -
- Ellen Key의『어린이의 세기』에 나타난 아동관
- 코로나19로 인한 교수법 변화: 테크노스트레스와 테크놀로지 수용 성향에 따른 교수자 유형 분석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