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메타분석의 내적타당성 확보를 위한 1차 연구의 질 평가에 대한 고찰
이용수 49
- 영문명
- Exploring the Quality Assessment of Primary Research for Ensuring the Internal Validity of Meta-Analysis
- 발행기관
- 부산대학교 교육발전연구소
- 저자명
- 한기순 심승엽 윤소영 김순근
- 간행물 정보
- 『교육혁신연구』제33권 제3호, 79~101쪽, 전체 23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9.30
5,5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연구목적: 이 연구는 2001년부터 2023년까지 출판된 교육학 분야 메타분석 708편을 대상으로 메타분석의 내적타당성을 확보하기 위한 1차 연구의 질 평가 실태를 분석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 2001년 이후 KCI에 발표된 국내 교육학 관련 메타분석 논문 708편을 분석 대상으로 선정하여, 이 중 1차 연구에 대한 질 평가를 실시한 80편을 선별하고 연도별, 세부 주제별, 질 평가 도구별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아울러 대표적인 1차 연구 질 평가 도구인 RoB2와 ROBINS-I의 질 평가 사례도 보고하였다. 연구결과: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메타분석에서 1차 연구의 질 평가를 보고하는 비율은 꾸준히 상승하고 있으나 최근 3년간(2021~2023년) 16.2%로 전체 비율은 높지 않았다. 둘째, 주제별로 분석했을 때 특수교육 분야에서 상대적으로 1차 연구 질 평가 보고 비율이 높았다. 셋째, 질 평가 결과가 기준에 부합하지 않음에도 분석 대상에서 제외한 경우는 1편에 불과하여, 질 평가 결과를 적극적으로 반영하려는 노력이 부족하였다. 논의 및 결론: 교육학에서 메타분석 연구는 확고하게 자리매김하고 있지만 투입될 1차 연구의 품질을 평가하려는 노력이 여전히 부족한 실정에서, 질 평가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나아가 샘플 데이터를 사용하여 평가 결과를 보고하는 사례를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이 연구의 의의가 있다.
영문 초록
Purpose: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status of primary research quality assessments in educational meta-analysis, focusing on 708 meta-analyses published in the field of education from 2001 to 2023. Method: We selected and analyzed 708 meta-analysis papers related to education that were published in the KCI after 2001. Among them, we singled out 80 papers that conducted quality assessments of the primary studies, analyzing them according to year, specific topic, and type of quality assessment tool. In addition, we reported quality assessment cases using the representative quality assessment tools for primary studies, RoB2, and ROBINS-I. Results: Firstly, the reporting rate of primary research quality assessment in meta-analysis has been steadily increasing, yet the overall rate remains low, accounting for just 16.2% over the past three years (2021-2023). Secondly, when analyzed by topic, the field of special education showed a relatively higher rate of reporting for primary research quality assessments. Thirdly, there was only one case where a study was excluded from the analysis due to its quality assessment results not meeting the criteria, indicating a lack of efforts to actively reflect the results of quality assessments. Over 60 meta-analysis papers in the field of domestic education have been consistently published annually since 2018. Despite the solid presence of meta-analysis research in education, there is still a lack of efforts to assess the quality of the primary research to be incorporated. Conclusion: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lies in emphasizing the importance of quality assessments, and presenting cases of reporting assessment results using sample data in a situation where such efforts are still lacking.
목차
Ⅰ. 연구의 필요성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논의 및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놀이 중심 유아교육과정의 교육내용 탐구 : 유아교사의 인식과 이해를 중심으로
- 유아특수교사의 「2019 개정 누리과정」 실행 경험 연구에 대한 질적 메타분석: 행위성(Agency) 발견하기
- 고등학교 특수학급 교사의 진로와 직업교육 경험 분석
- 메타분석의 내적타당성 확보를 위한 1차 연구의 질 평가에 대한 고찰
- 대학 재학 중 진로‧취업 지원 프로그램 참여 유형과 효과성 분석: 대학 전공지식의 유용성에 미치는 영향을 중심으로
- 대학생의 학습성과 잠재계층 분류 및 영향요인 탐색 : 지방 A 대학 재학생을 대상으로
- 특수교육대상학생의 메타버스 활용 교육에 대한 특수교사와 일반교사의 실태와 인식
- 회복적 생활교육의 서클활동 프로그램이 고등학생의 학교소속감과 사회적 책임감에 미치는 영향
- 척수장애인의 후천적 장애로 인한 내적 갈등 경험에 관한 내러티브 탐구
- 유아의 놀이 사례에 나타난 ‘과학적 배움’ 분석: 「2019 개정 누리과정」놀이운영사례집을 중심으로
- 대화 분석을 통한 사회정서역량 측정 애플리케이션 개발 - ChatGPT API를 이용하여 -
- Ellen Key의『어린이의 세기』에 나타난 아동관
- 코로나19로 인한 교수법 변화: 테크노스트레스와 테크놀로지 수용 성향에 따른 교수자 유형 분석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