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고등학교 특수학급 교사의 진로와 직업교육 경험 분석

이용수 47

영문명
The Analysis on the Career and Vocational Education Experience of High School Special Class Teachers
발행기관
부산대학교 교육발전연구소
저자명
박미승 한경임 송미승
간행물 정보
『교육혁신연구』제33권 제3호, 259~288쪽, 전체 30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3.09.30
6,4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연구목적: 본 연구는 고등학교 특수학급 교사들의 진로와 직업교육 경험을 분석하여 근거이론에 의한 패러다임 모형을 개발하고, 진로와 직업 교육 경험의 유형과 경험 과정을 도출하는 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 고등학교 특수학급 진로와 직업교육의 경험이 있는 교사 8명을 연구 참여자로 선정하여 심층면담을 하였다. 심층면담을 통해 수집된 자료는 Strauss와 Corbin(1998)의 근거이론을 바탕으로 개방코딩, 축코딩, 선택코딩을 거쳐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고등학교 특수학급 교사의 진로와 직업교육 경험은 인과적 조건인 ‘현실충격‘에 따라 중심현상인 ‘전환교육 전문가 진입: 사명감 형성’이 나타났다. 중심형상의 강도에 영향을 미치는 맥락적 조건은 ‘교육적 가치관’, ‘장애정도’, ‘인정’, ‘취업태도’로 나타났다. 중재적 조건인 ‘사회적 기반’, ‘학교지원’, ‘도전정신’에 따라 상호작용 전략인 ‘사회화 주력’, ‘자립교육’, ‘구태의연’을 선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상호작용 전략의 사용을 통해 ‘당당함’, ‘다짐’, ‘씁쓸함’, ‘안주’의 결과가 나타나는 것으로 도출되었다. 둘째, 고등학교 특수학급 교사의 진로와 직업교육 경험은 5가지 유형으로 나눌 수 있다. 셋째, 고등학교 특수학급교사의 진로와 직업교육 경험은 ‘전환교육 전문가 진입: 사명감 형성’을 중심으로 대응기-형성기-적용기의 단계를 거친다. 결론: 본 연구는 고등학교 특수학급 특수교사의 진로와 직업교육 경험에 대한 근거이론적 분석을 통해 교육 현장에서 실제 필요한 지원이 무엇인지 파악하고 향후 고등학교 특수학급 진로와 직업교육 정책 수립에 대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 데 의의가 있다.

영문 초록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career and vocational education experiences of high school special class teachers. Method: The research participants were 8 teachers working in high school special classes in Gyeongnam province. Data collected through in-depth interviews were analyzed through open coding, axial coding, and selective coding based on the grounded theory of Strauss and Corbin (1998). Results: The research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phenomenon in the career vocational education experience of high school special class teachers was 'entering transition education specialist: formation of a sense of mission'. The causal condition acting on the phenomenon was 'reality shock', the contextual factors which were influenced on the phenomenon were ‘educational values', 'degree of disability', 'recognition', and 'employment attitude'. The 'social foundation', 'school support', and 'challenging spirit' were the mediation conditions influenced on the interaction strategies such as 'focus on socialization', 'self-reliance education', and 'old-fashioned way'. As a result, the high school special class teachers showed the results such as 'confidence', 'commitment', 'bitterness', and 'comfort'. Second, the career and vocational education experiences of high school special class teachers was divided into five types. Third, the career vocational education experience of high school special class teachers showed the process going to 'entering transition education experts: forming a sense of mission' through the stages of responding, forming, and applying. Conclusion: This study presented a substantial theory of the career and vocational education experience of special education teachers in high school special classes. The result of this study will provide lots of information for career and vocational education of high school special class students.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제언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박미승,한경임,송미승. (2023).고등학교 특수학급 교사의 진로와 직업교육 경험 분석. 교육혁신연구, 33 (3), 259-288

MLA

박미승,한경임,송미승. "고등학교 특수학급 교사의 진로와 직업교육 경험 분석." 교육혁신연구, 33.3(2023): 259-288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