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대화 분석을 통한 사회정서역량 측정 애플리케이션 개발 - ChatGPT API를 이용하여 -
이용수 200
- 영문명
- Developing an Application Prototype for Social and Emotional Competence Measurement through Conversation Analysis - Using the ChatGPT API -
- 발행기관
- 부산대학교 교육발전연구소
- 저자명
- 이상수
- 간행물 정보
- 『교육혁신연구』제33권 제3호, 55~78쪽, 전체 24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9.30
5,6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연구목적: 이 연구의 목적은 거대 언어 모델의 대표적 ChatGPT를 이용하여 대화 분석을 통한 사회정서역량 측정 애플리케이션의 가능성을 탐색하는 프로토타입을 개발하는 것이다. 연구 방법: 이 연구는 개발연구 방법론을 사용하였다. 애플리케이션은 ChatGPT API를 이용하여 개발하였으며, 애플리케이션 개발을 위해 클로바노트, Python, ChatGPT, Markdown, Streamlit, Plotly 등의 프로그램을 사용하였다. 어플리케이션의 타당화 방법으로 ChatGPT 분석 결과 간 그리고 전문가 분석 결과 간 일치도 분석을 위해 평정자 간 신뢰도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애플리케이션은 클로바노트를 이용하여 자동적으로 대화를 녹취와 전사를 하여 분석을 위한 전처리를 실시 하였으며, 데이터를 업로드하면 참가자별 대화가 추출되고 문장별로 평정척도를 적용하여 분석이 이루어졌다. 그리고 결과제시는 참여자 별로 사회정서역량 점수와 분석 근거가 제시되고 오각형 점수를 통한 직관적 점수 이해가 가능하도록 하였다. 애플리케이션을 타당화하기 위하여 ChatGPT 결과간 그리고 전문가 분석 점수 간 내적 합치도를 분석하였고 높은 내적 합치도로 타당한 것으로 결과는 나타났다. 논의 및 결론: 이 연구는 ChatGPT API를 이용하여 대화 분석을 통한 사회정서역량 측정 가능성을 보여주었으며 또한 사회과학 분야에서 거대 언어 모델을 사용하여 사회과학적 문자 데이터을 분석하고 연구할 수 있는 가능성을 확인시켜 주었다는 차원에서 의미가 있다고 할 수 있다.
영문 초록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prototype that explores the possibility of measuring social emotional competency through conversation analysis using ChatGPT, a representative macro language model. Method: This study used the development research methodology. The application was developed using the ChatGPT API, and programs such as Clovanote, Python, ChatGPT, Markdown, Streamlit, and Plotly were used for application development. ICC(intraclass correlation coefficients) was conducted to analyze the agreement between ChatGPT analysis results and expert analysis results as a validation method of the application. Results: The application automatically recorded and transcribed conversations using Clovanote to perform preprocessing for analysis. When the data was uploaded, conversations by participant were extracted and analysis was performed by applying a rating scale for each sentence. In addition, in the presentation of the results, the social-emotional competency score and the basis for analysis were presented for each participant, and it was possible to understand the intuitive score through the pentagon score. In order to justify the application, the internal agreement between the ChatGPT results and the expert analysis scores was analyzed, and the result was found to be valid with a high internal agreement. Conclusion: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showed the possibility of measuring social emotional competency through conversation analysis using the ChatGPT API, and also confirmed the possibility of analyzing and studying social scientific text data using a large language model in the field of social science.
목차
Ⅰ.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논의 및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놀이 중심 유아교육과정의 교육내용 탐구 : 유아교사의 인식과 이해를 중심으로
- 유아특수교사의 「2019 개정 누리과정」 실행 경험 연구에 대한 질적 메타분석: 행위성(Agency) 발견하기
- 고등학교 특수학급 교사의 진로와 직업교육 경험 분석
- 메타분석의 내적타당성 확보를 위한 1차 연구의 질 평가에 대한 고찰
- 대학 재학 중 진로‧취업 지원 프로그램 참여 유형과 효과성 분석: 대학 전공지식의 유용성에 미치는 영향을 중심으로
- 대학생의 학습성과 잠재계층 분류 및 영향요인 탐색 : 지방 A 대학 재학생을 대상으로
- 특수교육대상학생의 메타버스 활용 교육에 대한 특수교사와 일반교사의 실태와 인식
- 회복적 생활교육의 서클활동 프로그램이 고등학생의 학교소속감과 사회적 책임감에 미치는 영향
- 척수장애인의 후천적 장애로 인한 내적 갈등 경험에 관한 내러티브 탐구
- 유아의 놀이 사례에 나타난 ‘과학적 배움’ 분석: 「2019 개정 누리과정」놀이운영사례집을 중심으로
- 대화 분석을 통한 사회정서역량 측정 애플리케이션 개발 - ChatGPT API를 이용하여 -
- Ellen Key의『어린이의 세기』에 나타난 아동관
- 코로나19로 인한 교수법 변화: 테크노스트레스와 테크놀로지 수용 성향에 따른 교수자 유형 분석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