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척수장애인의 후천적 장애로 인한 내적 갈등 경험에 관한 내러티브 탐구
이용수 38
- 영문명
- A Narrative Inquiry on the Experience of Internal Conflicts Due to Acquired Disabilities of Individuals with Spinal Cord Disabilities
- 발행기관
- 부산대학교 교육발전연구소
- 저자명
- 이미혜 강승희
- 간행물 정보
- 『교육혁신연구』제33권 제3호, 201~226쪽, 전체 26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9.30
5,9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연구목적: 본 연구는 후천적 장애라는 생애 사건을 통해 후천적 장애인이 된 척수장애인의 내적 갈등 경험을 분석하고 이해하는 것을 연구 목적으로 한다. 연구방법: 내러티브 탐구 방법으로, 성인이 된 후 사고나 질병으로 후천적 척수장애인이 된 3명의 인터뷰 자료를 바탕으로 의미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마비의 순간>은 후천적 장애인이 되는 생애 사건 과정을 신체적, 심리적 마비로 분석하고, <바퀴위의 삶으로 놓아주기>는 경험한 내적 갈등은 후천적 장애인이라는 정체성이 새로운 자아로 형성하는 과정이며, <새로운 삶의 의미 찾기>는 후천적 장애인이라는 새로운 정체성을 받아들이고 새로운 삶의 목표를 발견하여 다시 사는 것을 의미한다. 논의 및 결론: 후천적 장애라는 생애 사건으로 후천적 장애인이 되어 경험한 내적 갈등은 자아 정체감 변화와 유기적인 관계이고 그들의 커뮤니티 변화에도 영향을 주는 요인임을 이해할 수 있었으며, 후천적 장애인은 그들이 경험하는 내적 갈등에 대한 심리적 유연성을 길러야 할 필요성이 있고 후천적 장애인을 위한 일련의 표적화된 사회심리적 치료지원이 마련되어야 함을 시사점으로 도출하였다.
영문 초록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and understand the experience of internal conflict of people with spinal cord disabilities who became disabled through life events of acquired disabilities. Method: Using a narrative inquiry method, the meaning was analyzed based on interview data from three people who acquired spinal cord disability due to an accident or disease after becoming adults. Results: analyzes the life event process of becoming an acquired disabled person as physical and psychological paralysis, and is the process by which the identity of an acquired disabled person forms a new self, means living again by accepting a new identity as an acquired disabled person and discovering a new life goal. Conclusion: It was possible to understand that the internal conflict experienced by becoming disabled due to a life event called “acquired disability” is organically related to changes in self-identity and is a factor that affects changes in their community. Acquired disabled people must develop psychological flexibility regarding the internal conflicts they experience and the implications were drawn that there is a need to provide a series of targeted social and psychological treatment support for people with acquired disabilities.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놀이 중심 유아교육과정의 교육내용 탐구 : 유아교사의 인식과 이해를 중심으로
- 유아특수교사의 「2019 개정 누리과정」 실행 경험 연구에 대한 질적 메타분석: 행위성(Agency) 발견하기
- 고등학교 특수학급 교사의 진로와 직업교육 경험 분석
- 메타분석의 내적타당성 확보를 위한 1차 연구의 질 평가에 대한 고찰
- 대학 재학 중 진로‧취업 지원 프로그램 참여 유형과 효과성 분석: 대학 전공지식의 유용성에 미치는 영향을 중심으로
- 대학생의 학습성과 잠재계층 분류 및 영향요인 탐색 : 지방 A 대학 재학생을 대상으로
- 특수교육대상학생의 메타버스 활용 교육에 대한 특수교사와 일반교사의 실태와 인식
- 회복적 생활교육의 서클활동 프로그램이 고등학생의 학교소속감과 사회적 책임감에 미치는 영향
- 척수장애인의 후천적 장애로 인한 내적 갈등 경험에 관한 내러티브 탐구
- 유아의 놀이 사례에 나타난 ‘과학적 배움’ 분석: 「2019 개정 누리과정」놀이운영사례집을 중심으로
- 대화 분석을 통한 사회정서역량 측정 애플리케이션 개발 - ChatGPT API를 이용하여 -
- Ellen Key의『어린이의 세기』에 나타난 아동관
- 코로나19로 인한 교수법 변화: 테크노스트레스와 테크놀로지 수용 성향에 따른 교수자 유형 분석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