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작업치료 임상실습 학생들이 경험한 고시원 생활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이용수 4
- 영문명
- The Phenomenological Study on Occupational Therapy Students’ Gosiwon Life During Fieldwork
- 발행기관
- 대한작업치료학회
- 저자명
- 황상희 전병진 최정실
- 간행물 정보
- 『대한작업치료학회지』제19권 제3호, 129~144쪽, 전체 16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의학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1.09.30
4,7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목적 : 임상실습 과정에서 병원의 일과가 끝난 후에 고시원에서 생활하는 학생들의 경험은 실습 전체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 고시원의 일상에 대한 연구는 임상실습 학생들을 보다 잘 이해하는 기초자료가 될 것이다. 따라서 본연구의 질문은“작업치료 임상실습 학생들의 고시원 생활 경험은 어떠한가?”이다.
연구방법 : 참여자는 작업치료 임상실습을 마치고 돌아온 학생 5명에게 심층인터뷰를 3~4회 실시하였다. 이들이 임상실습 과정에서 일상생활에서 겪는 경험들을 더 이상 새로운 내용이 나오지 않는 포화상태까지 자료를 수집하였다. 그 기간은 2008년 10월에서부터 2009년 1월까지 이루어졌다. 연구 참여자의 윤리적 측면을 보호하기 위하여 연구자는 연구목적과 방법, 연구 참여에 대한 참여자의 자발성 및 연구 참여를 중단할 수 있는 권리의 보장, 비밀유지를 위한 익명처리, 면담 내용의 메모, 녹음 등 기록에 대해 서면 동의서를 받았다. 자료수집 및 분석은 지오르기의 4가지의 구체적 절차에 따라 이루어졌다. 결과 : 연구결과는 86개의 의미단위, 14개의 하위 구성요소, 6개의 구성요소로 도출되었으며, 작업치료 학생들이 낯설고 삭막한 고시원에서의 생존에 대한 구성요소들은 다음과 같다.‘ 좁은 고시원 공간의 버거움’,‘ 공동생활의 어려움’,‘ 심한 심리적 스트레스를 경험함’,‘ 가족의 사랑으로 힘을 얻음’,‘ 공동생활에서 생존전략을 터득함’,‘ 낯선 생활에서 생존전략을 터득함’으로 나타났다. 결론 : 작업치료 임상실습생들은 고시원에서 생존을 위한 나름의 다양한 전략들을 사용하고 있었고, 이들을 지원하기 위한 다양한 접근방법이 모색되어야 할 것이다.
영문 초록
Objective : In the fieldwork process, experiences of students living in the Gosiwon after finishing work in the hospital greatly affected overall practice. The study on everyday life of the Gosiwon will be used as basic data to better understand students’fieldwork experiences. The question of the study was “what are daily survival strategies for fieldwork students who lived in Gosiwon?”. Methods : In 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five students who finished occupational therapy fieldwork three and four times. Data collection ended when new content was not created any longer. The duration was from Oct, 2008 to Jan, 2009. To protect ethical aspect of the subjects, they submitted the written consent with records such as protection about rights to volunteer in the survey and stop their participation, anonymity for secrecy, memo and recording about interview contents. The data collection and analysis were conducted according to‘ Giorgi’s four specific procedures. Results : The results of the study consisted of 86 semantic units, 14 sub-components, and 6 components, and components about occupational therapy students’survival in the unfamiliar and desolate Gosiwon were as follows. There were‘ burden of narrow Gosiwon space’,‘ difficulty of common life’,‘ experience of serious psychological stresses’,‘ obtaining of power from family’s love’,‘ understanding of the survival strategy in the common life’, and‘ understanding of the survival strategy in the unfamiliar environment’. Conclusions : Fieldwork students used their own various strategies to survive the Gosiwon, and diverse approaches should be sought to support them.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고찰
Ⅴ. 결론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경직형 뇌성마비 아동의 사물조작능력 분류 체계와 신변처리 기술 간의 상관관계
- 발달장애아 아버지의 양육 참여도와 어머니의 양육 효능감
- 한국형 전산화 인지재활 프로그램(코트라스)이 뇌졸중의 인지능력과 일상생활활동에 미치는 효과
- 전반적 발달장애 유아를 대상으로 한 감각프로파일(Sensory Profile)의 구성타당도 연구
- 작업치료 임상실습 학생들이 경험한 고시원 생활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 Rehabilitation Problem Solving Form을 적용한 척수손상 환자의 임상 사례
- 가상현실 게임을 이용한 훈련이 뇌졸중환자의 기능회복에 미치는 영향
- 가상현실공간훈련에 따른 산업체 만성 요통 클라이언트의 신체적 및 심리적 기능의 변화
- 작업치료의 중재가 유방암 절제술 환자의 상지기능과 일상생활 및 삶의 질에 미치는 효과
- 한글 Pediatric Evaluation of Disability Inventory(PEDI) 평가도구의 내용 타당도 검증
- 긴장의 연속 : 일반초등학교에 장애아동을 입학시킨 어머니들의 일 년 간의 경험과 변화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