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Rehabilitation Problem Solving Form을 적용한 척수손상 환자의 임상 사례
이용수 14
- 영문명
- Application of Rehabilitation Problems Solving Form for a Person With Spinal Cord Injury
- 발행기관
- 대한작업치료학회
- 저자명
- 방요순 김희영
- 간행물 정보
- 『대한작업치료학회지』제19권 제3호, 115~128쪽, 전체 14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의학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1.09.30
4,4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목적 : 본 연구는 척수손상 환자를 대상으로 RPS Form을 적용하여 작업치료에서의 임상적 평가의 효용성을 알아보고, 적용 사례를 단계적으로 설명하여 실제 사용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31세의 척수손상 남성 환자를 대상으로 RPS Form을 적용한 평가와 중재를 제공하였다. 또한 임상전문
가 6인과 RPS Form의 효용적 측면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결과 : RPS Form은 척수손상 환자의 신체구조 및 기능, 활동 및 참여 이외의 환경적 요소까지 효율적으로 평가할수 있었고, 논리적인 결정을 내릴 수 있어 임상에서 적용하기 유용하였다. 환자의 중재에 대한 반응, 또한 긍정적이었다. 결론 : RPS Form은 건강에 대한 ICF의 재활관리 서비스를 한 장의 평가지로 시각화하여 사용이 간편하고, 그 내용
이 분명하여 임상적 추론을 주도하기에 용이하였다. 또한 타 재활 전문영역과의 원활한 팀 접근과 함께 근거기반의 작업치료를 제공할 수 있었다. 따라서 RPS Form의 폭넓은 적용을 위해서는 임상의 각 질환별 특징을 반영한 ICF Core sets의 첨부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영문 초록
Objective : This study was performed to verify the comprehensive perspective based on the ICF-model and logical clinical thinking of Rehabilitation Problem Solving(RPS) Form. Methods : The patient was a 31-year-old man who injured spinal cord. A plan of care was to address impairment, activity limitation and participation restrictions by using RPS Form. And we discussed about clinical utilities of RPS Form with 6 clinical experts. Results : After the intervention, subject participated in computer lecture more often and for longer duration. And he expressed positive attitude about intervention. Experts mentioned agreeable opinion about using RPS Form in clinic. Conclusions : RPS provides a visual simpleness and clearness and it also guides logical thinking in clinical practice. Therefore RPS Form can be used to enhance multidisciplinary patient management and assists in clarifying clinical roles as part of a multidisciplinary team. The case report demonstrates that the RPS Form can be a viable strategy for occupational therapy.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고찰
Ⅴ.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경직형 뇌성마비 아동의 사물조작능력 분류 체계와 신변처리 기술 간의 상관관계
- 발달장애아 아버지의 양육 참여도와 어머니의 양육 효능감
- 한국형 전산화 인지재활 프로그램(코트라스)이 뇌졸중의 인지능력과 일상생활활동에 미치는 효과
- 전반적 발달장애 유아를 대상으로 한 감각프로파일(Sensory Profile)의 구성타당도 연구
- 작업치료 임상실습 학생들이 경험한 고시원 생활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 Rehabilitation Problem Solving Form을 적용한 척수손상 환자의 임상 사례
- 가상현실 게임을 이용한 훈련이 뇌졸중환자의 기능회복에 미치는 영향
- 가상현실공간훈련에 따른 산업체 만성 요통 클라이언트의 신체적 및 심리적 기능의 변화
- 작업치료의 중재가 유방암 절제술 환자의 상지기능과 일상생활 및 삶의 질에 미치는 효과
- 한글 Pediatric Evaluation of Disability Inventory(PEDI) 평가도구의 내용 타당도 검증
- 긴장의 연속 : 일반초등학교에 장애아동을 입학시킨 어머니들의 일 년 간의 경험과 변화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