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작업치료의 중재가 유방암 절제술 환자의 상지기능과 일상생활 및 삶의 질에 미치는 효과
이용수 4
- 영문명
- Intervention of Occupational Therapy for Breast Cancer Patients Who Engage in Substantial Upper Extremity Functioning in Their Daily Life and the Quality of Life Effects of Their Increase in Functioning
- 발행기관
- 대한작업치료학회
- 저자명
- 송영진 정원규 송문성 박은정
- 간행물 정보
- 『대한작업치료학회지』제19권 제3호, 63~74쪽, 전체 12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의학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1.09.30
4,2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목적 : 본 연구의 목적은 유방암 수술 후 어깨 관절가동범위에 제한이 있는 환자에게 작업치료의 중재를 통해 일상생활 수행 및 상지 기능, 삶의 질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함이다. 연구방법 : 유방암 절제술 후 어깨 관절가동범위에 제한이 있는 73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작업치료를 실시하였다. 치료는 기능적 작업치료와 일상생활 동작훈련을 주 2회 이상 시행하였고 홈프로그램을 제공하였으며 치료의 연속성과 효과를 보기 위하여 최소 8주이상 참여하도록 하였다. 치료 전후 어깨 관절가동범위의 수동 관절 범위, 상지장애정도(Disability of the Arm, Shoulder and Hand; DASH), 삶의 질(Functional Assessment of Cancer Therapy-General; FACT-G)과 피로도(Fatigue Severity Scale; FSS)에 대한 자료를 수집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 작업치료 중재 후 어깨 관절의 굴곡, 외전, 내회전, 외회전의 관절가동범위는 모두 유의한 변화를 보였다(p<.001). 또한 상지 장애정도(DASH)도 유의하게 향상되었으며(p<.001) 삶의 질(FACT-G)은 신체적 삶의 질과 정서적 삶의 질에서 유의한 변화를 보였으나(p<.001) 사회적 삶의 질과 기능적 삶의 질은 유의한 변화를 보이지 않았다. 피로도(FFS)는 치료 후 유의하게 향상되었으며(p<.001) 치료 횟수가 증가하면 피로도가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 유방암 절제술 후 관절가동범위의 제한이 있는 환자에게 작업치료를 중재하였을 때 어깨 관절가동범위를 증진시킬 뿐만 아니라 상지 장애 및 일상생활의 향상과 함께 삶의 질을 높이는 데에 효과적일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이러한 내용을 고려하여 유방암 환자에게 다양한 작업치료를 임상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근거로 활용 할 수 있을 것이다.
영문 초록
Objective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termine in patients following breast cancer surgery, the shoulder range of motion restrictions during occupational therapy as well as their upper extremity functioning and the daily life activities and their quality of life in order to assess the effects of their postoperative therapy. Methods : From September 2009 to April 2010, occupational therapy was conducted to increase the limited range of motion after breast surgery performed on 73 patients. For this treatment, occupational therapy, functional training, and daily life activities were performed more than twice weekly in order to provide home treatment programs which were then continually reviewed and appropriately modified. The duration of treatment of the limited shoulder joint range of motion continued until a normal angle of less than 20% was achieved. Information regarding the passive range of motion of the shoulder joint before and after treatment, upper extremity disability (Disability of the Arm, Shoulder and Hand; DASH), the quality of life (Functional Assessment of Cancer Therapy-General; FACT-G), and fatigue (Fatigue Severity Scale; FSS), was collected and the data then analyzed. Results : Following the occupational therapy, shoulder flexion, abduction, internal rotation, and external rotation range of motion showed significant change. (p<.001) The upper limb disability score (DASH) significantly improved (p<.001) but not show a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DASH and general characters like patient age, the period of treatment, treatment frequency. Quality of life (FACT- G)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at physical and Well-Being(p<.001), but the social and functional Well- Being did not change significantly. Patient fatigue(FFS) significantly improved after treatment (p<.001) with the increase in the number of treatments showing a decrease in patient fatigue. Conclusion : Breast cancer resection joint occupational therapy for patients with limited shoulder range of motion, when applied to the upper extremities as well as used to promote the improvement of patients’ everyday life with a decrease in disability and improvement in their quality of life, appeared to be effective and successful. Therefore, considering this information as part of breast cancer clinical treatment together with a variety of tasks that can be used as part of the therapy should demonstrate the success and usefulness of this treatment and postoperative therapy.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고찰
Ⅴ. 결론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경직형 뇌성마비 아동의 사물조작능력 분류 체계와 신변처리 기술 간의 상관관계
- 발달장애아 아버지의 양육 참여도와 어머니의 양육 효능감
- 한국형 전산화 인지재활 프로그램(코트라스)이 뇌졸중의 인지능력과 일상생활활동에 미치는 효과
- 전반적 발달장애 유아를 대상으로 한 감각프로파일(Sensory Profile)의 구성타당도 연구
- 작업치료 임상실습 학생들이 경험한 고시원 생활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 Rehabilitation Problem Solving Form을 적용한 척수손상 환자의 임상 사례
- 가상현실 게임을 이용한 훈련이 뇌졸중환자의 기능회복에 미치는 영향
- 가상현실공간훈련에 따른 산업체 만성 요통 클라이언트의 신체적 및 심리적 기능의 변화
- 작업치료의 중재가 유방암 절제술 환자의 상지기능과 일상생활 및 삶의 질에 미치는 효과
- 한글 Pediatric Evaluation of Disability Inventory(PEDI) 평가도구의 내용 타당도 검증
- 긴장의 연속 : 일반초등학교에 장애아동을 입학시킨 어머니들의 일 년 간의 경험과 변화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