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긴장의 연속 : 일반초등학교에 장애아동을 입학시킨 어머니들의 일 년 간의 경험과 변화
이용수 5
- 영문명
- A Continuous State of Tension : The Mothers With Experience and a Change When Their Disabled Children Entered a Primary School for One Year
- 발행기관
- 대한작업치료학회
- 저자명
- 한미애 장기연 곽내화
- 간행물 정보
- 『대한작업치료학회지』제19권 제3호, 35~50쪽, 전체 16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의학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1.09.30
4,7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목적 : 본 연구는 일반초등학교에 입학한 장애아동이 학교에 적응하는 과정과 장애아동을 초등학교에 입학시킨 부모들의 경험, 변화와 그 의미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부모들의 경험과 변화에 대해 심층적으로 이해하고 기술하기 위해 현상학적 연구방법을 이용한 질적 연구를 사용하였다. 연구의 참여자는 초등학교 입학 후 1년간의 과정을 거친 장애아동의 어머니 4명이다. 자료수집을 위해 세 단계의 심층면담을 대상자별로 진행 하였다. 분석은 Colaizzi의 분석방법을 사용하여 연구 참여자로부
터 기술된 내용에서 의미 있는 문장이나 구를 추출하고, 이를 기반으로 일반적이며 추상적인 의미단위를 만들고 주제와 주제 묶음으로 범주화한 후 경험의 본질적 구조를 기술하였다. 결과 : 연구를 통하여 도출된 경험과 의미는 다음과 같다. 첫째, 준비가 되어 있지 않음으로 인한 초조, 불안, 후회를 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둘째, 장애 아동이 취학 할 학교를 선택함에 있어 고민과 갈등이 있었다. 셋째, 아이가 잘할 수 있을까 하는 염려, 불안감과 두려움으로 긴장의 연속선상에 있으면서도 기대감을 가지고 있었다. 넷째, 교사와의 관계에서 대화와 시간의 흐름을 통한 신뢰가 바탕이 되어 가까워지는 것을 볼 수 있었다. 다섯째, 일 년간의 학교생활을 바탕으로 어렵지만 성장해 가는 어머니 자신과 아이의 모습을 발견하게 되었다. 결론 : 본 연구결과를 통해 나타난 장애아동 부모의 경험과 변화, 어려움을 이해하여 아동의 특성과 취학을 앞둔 아동의 시기적 상황에 맞는 취학 전 학교적응 프로그램(적절한 가족 지원 및 통합지원 작업치료 서비스)을 개발하고 시행하여 성공적인 전이가 될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영문 초록
Objective : This study was aimed to figure out how the disabled children fit in a primary school and understand the meaning of the parents with both experience and a change when their disabled children entered a primary school. Methods : Qualitative research with phenomenological methods used in order to thoroughly understand and describe the parents of experience and a change, The subjects were four mothers whose disabled children attended a S children research institute in Daejeon and experienced the curriculum for one year after entrance into a primary school. An in-dept interview consisted of three stage for subjects was conducted respectively in order to collect data. Colaizzi used as analysis methods in order to educe meaningful sentences or phrases from what subjects described. General and abstractive statements based on those methods not only allowed to form the meaning of the sentences or phrases and be categorized as a bunch of theme but also enabled to describe the intrinsic structure of experience. Results : The experience and meaning from this study are as in the following. First, subjects suffered from anxiety, apprehend and regret because they did not be prepared. Second, they were in tense and simultaneously had worry and inner conflicts in choosing which school to be for the second child. Third, they had anxiety and apprehend about the ability of their children to fit in a primary school and expectations of their children. Fourth, they became intimate with teachers through a long conversation with the teachers. Fifth, though a difficult process, they found that their children and themselves had grown. Conclusions : We should make a successful transition by understanding parents who had disabled children with experience, a change and difficulties based on the results and through development and conduction of proper pre-school adaptation programs(proper family support and integrated occupational therapy aid services) which were related with a character of a school-age children.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고찰
Ⅴ.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경직형 뇌성마비 아동의 사물조작능력 분류 체계와 신변처리 기술 간의 상관관계
- 발달장애아 아버지의 양육 참여도와 어머니의 양육 효능감
- 한국형 전산화 인지재활 프로그램(코트라스)이 뇌졸중의 인지능력과 일상생활활동에 미치는 효과
- 전반적 발달장애 유아를 대상으로 한 감각프로파일(Sensory Profile)의 구성타당도 연구
- 작업치료 임상실습 학생들이 경험한 고시원 생활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 Rehabilitation Problem Solving Form을 적용한 척수손상 환자의 임상 사례
- 가상현실 게임을 이용한 훈련이 뇌졸중환자의 기능회복에 미치는 영향
- 가상현실공간훈련에 따른 산업체 만성 요통 클라이언트의 신체적 및 심리적 기능의 변화
- 작업치료의 중재가 유방암 절제술 환자의 상지기능과 일상생활 및 삶의 질에 미치는 효과
- 한글 Pediatric Evaluation of Disability Inventory(PEDI) 평가도구의 내용 타당도 검증
- 긴장의 연속 : 일반초등학교에 장애아동을 입학시킨 어머니들의 일 년 간의 경험과 변화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