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경직형 뇌성마비 아동의 사물조작능력 분류 체계와 신변처리 기술 간의 상관관계
이용수 5
- 영문명
- Correlation Between Manual Ability Classification System and Self-care Skills in Children With Spastic Cerebral Palsy
- 발행기관
- 대한작업치료학회
- 저자명
- 안아라 박흥석 차상은 신원호 조은희 김은혜 권정이
- 간행물 정보
- 『대한작업치료학회지』제19권 제3호, 13~22쪽, 전체 10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의학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1.09.30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목적 : 사물조작능력 분류 체계(Manual Ability Classification System : MACS)를 통한 경직형 뇌성 마비 아동의 사 물조작능력 수준 분류와 신변처리 기술 간의 상관성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연구 방법 : 본 연구는 경직형 뇌성마비 아동 45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MACS의 검사자간 신뢰도를 평가하기 위해 두 명의 검사자가 동시에 평가하였으며, 주검사자가 평가 시행 시 부검사자가 독립적으로 채점하도록 하였다. 검 사자간 신뢰도는 급간 내 상관계수(ICC)를 통하여 분석하였으며 신변처리 기술 능력을 평가하기 위 해 Pediatric Evaluation of Disability Inventory(PEDI)를 사용하였다. MACS와 신변처리 기술 간의 상관성 분석은 스피어만 상관 분석을 사용하였으며, MACS 단계에 따른 신변처리 기술의 차이를 확인하기 위하여 크루스칼- 윌리스 검정 과 맨-휘트니 검정을 시행하였다. 결과 : 연구 결과 MACS의 검사자간 신뢰도는 ICC .93으로 좋은 일치도를 보였다. MACS와 신변처리 기술은 높은 수준의 상관성을 보였으며(r=-.921), 신변처리 기술 모든 항목에서 유의한 상관을 보였다. 그 중 신발 /양말 신기 (r=-.852), 단추/지퍼 채우기(r=-.849), 하의(r=-.846)에서 상관관계가 가장 높았다. 또한 MACS 단계 간 신 변처리 기술 총점 및 모든 하위 영역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MACS 1-2단계 간 에는 3가지 항목(얼굴과 몸 씻기, 티셔츠/앞여밈이 있는 의복입기, 단추/지퍼 채우기)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 , 2-3단계 간 에는 4가지 항목(손 씻기, 하의, 신발/양말 신기, 화장실 이용)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3-4단계 간 에는 단추/ 지퍼 채우기 항목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하지만 4-5단계 간에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는 항목이 없었다. 결론 : 사물조작능력 분류 체계는 뇌성마비 아동의 사물조작능력을 평가하기에 신뢰할 수 있는 도구 이다. 또한 뇌성 마비 아동의 사물조작능력 분류 체계는 뇌성마비 아동의 신변처리 기술 수행 능력을 잘 반영하는 유 용한 평가 체 계라고 판단된다.
영문 초록
Objectiv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manual ability of children with spastic cerebral palsy using Manual Ability Classification System(MACS) and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level of MACS and self-care skills. Methods : Forty-five children with spastic cerebral palsy were endrolled in this study. To evaluate interrater reliability of MACS, one rater carried out the test to subjects and another rater scored the performances independently by observation. The main rater evaluated the self-care skills of subjects based on Pediatric Evaluation of Disability Inventory(PEDI). Inter-rater reliability was analyzed using Interclass Correlation(ICC). Spearman correlation analysis was used to evaluate the correlation between the MACS and self-care skill. Further Kruscal-Wallis test and Mann-Whitney test were performed to examine difference in the PEDI scores between the MACS levels. Results : The inter-rater reliability of the MACS was good(ICC=.93). The correlation between the MACS and self-care score was high(r=-.921). Among self-care domains, shoes/socks(r=-.852), fasteners(r=- .849) and pants(r=-.846) had the greatest correlation with the MACS levels. Three domains in self-care skill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MACS level 1 and 2, four between the level 2 and 3, one between the level 3 and 4, respectively. However no domain showed difference between the level 4 and 5. Conclusions : The MACS is a reliable instrument to assess the manual ability in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Furthermore,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MACS could be clinically used to predict self-care skills in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고찰
Ⅴ. 결론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경직형 뇌성마비 아동의 사물조작능력 분류 체계와 신변처리 기술 간의 상관관계
- 발달장애아 아버지의 양육 참여도와 어머니의 양육 효능감
- 한국형 전산화 인지재활 프로그램(코트라스)이 뇌졸중의 인지능력과 일상생활활동에 미치는 효과
- 전반적 발달장애 유아를 대상으로 한 감각프로파일(Sensory Profile)의 구성타당도 연구
- 작업치료 임상실습 학생들이 경험한 고시원 생활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 Rehabilitation Problem Solving Form을 적용한 척수손상 환자의 임상 사례
- 가상현실 게임을 이용한 훈련이 뇌졸중환자의 기능회복에 미치는 영향
- 가상현실공간훈련에 따른 산업체 만성 요통 클라이언트의 신체적 및 심리적 기능의 변화
- 작업치료의 중재가 유방암 절제술 환자의 상지기능과 일상생활 및 삶의 질에 미치는 효과
- 한글 Pediatric Evaluation of Disability Inventory(PEDI) 평가도구의 내용 타당도 검증
- 긴장의 연속 : 일반초등학교에 장애아동을 입학시킨 어머니들의 일 년 간의 경험과 변화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