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발달장애아 아버지의 양육 참여도와 어머니의 양육 효능감
이용수 7
- 영문명
- Father’s Involvement in Child Care and Parenting Self-Efficacy of Mothers With Developmentally Disabled Children
- 발행기관
- 대한작업치료학회
- 저자명
- 전민영 박혜연
- 간행물 정보
- 『대한작업치료학회지』제19권 제3호, 23~33쪽, 전체 11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의학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1.09.30
4,1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목적 : 본 연구는 발달 장애아 아버지의 양육 참여도와 어머니의 양육 효능감의 정도를 알아보고, 양 육 효능감에 영 향을 미치는 요인을 어머니 변인(연령, 교육수준, 종교, 취업유무), 자녀 변인(연령, 성, 장애유형, 장애정도, 자녀 수), 아버지 변인(연령, 교육수준, 종교, 직업, 수입, 양육 참여정도)을 중심으로 탐색해 보고자 수행 되었다. 연구방법 : 연구 대상은 서울과 경기도에 위치한 장애인 복지관, 사설 기관, 병원 등 특수치료 관련기 관 11곳에서 치료를 받고 있는 장애아의 어머니 190명이었다. 발달장애아 아버지의 자녀 양육 참여도를 측정하기 위하여 ‘Paternal Involvement in Child Care Index(PICCI)’를 사용하였고 발달 장애아 어머니의 양육 효능 감을 측정하 기 위하여‘Parenting Sense of Competence(PSOC) Scale’를 사용하였다. 결과 : 발달장애아 어머니의 양육 효능감과 아버지의 양육 참여도는 각 측정 도구의 중간 점수보다 약간 높게 나타 났고 발달 장애아 어머니의 양육 효능감을 유의하게 설명하는 변인은 자녀의 장애 정도와 아버지의 양육 참여도 였다. 결론 : 발달 장애아 어머니의 양육 효능감은 아버지의 양육 참여도와 자녀의 장애 정도와 관련이 있다는 것을 확인 하게 되었다. 따라서 장애 자녀발달을 위한 치료와 교육의 중요성을 재인식하게 되었으며, 장애아 아 버지의 참여를 유도할 수 있는 교육 프로그램과 장애아 가족을 위한 다양한 제도의 필요성을 재확인하는 계기가 되었다는 점에서 의의를 갖는다.
영문 초록
Objectiv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level of child-care involvement of fathers and the parenting self-efficacy of mothers who have developmentally disabled children, and to examine the variables explaining the mothers’parenting self-efficacy. Methods : The subjects were 190 mothers with developmentally disabled children who were receiving treatment in special therapy institutions. The instruments used for this study were the Paternal Involvement in Child Care Index and the Parenting Sense of Competence Scale.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pearson & Spearman's Correlation and multiple regressions. Results : First, the mothers reported a medium level of parenting self-efficacy, as well as a medium level of involvement in the care of their children from their husband. Second, the mothers’parenting self-efficacy was significantly explained based on the level of their child's disability, and the degree of their husband’s child-care involvement. The mothers who have a child with a slight degree of disability and who receive more child-care support from their husband reported higher parenting self-efficacy. Conclusions : We confirmed that the mothers’level of parenting self-efficacy is related to the level of their child’s disability and the degree of their husband’s involvement in their child’s care. Thus, we newly recognized the importance of education and treatment for handicapped children. After this research, we recognized that the system needs to be changed for the families of handicapped children, and that the program should elicit the father's participation.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고찰
Ⅴ.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경직형 뇌성마비 아동의 사물조작능력 분류 체계와 신변처리 기술 간의 상관관계
- 발달장애아 아버지의 양육 참여도와 어머니의 양육 효능감
- 한국형 전산화 인지재활 프로그램(코트라스)이 뇌졸중의 인지능력과 일상생활활동에 미치는 효과
- 전반적 발달장애 유아를 대상으로 한 감각프로파일(Sensory Profile)의 구성타당도 연구
- 작업치료 임상실습 학생들이 경험한 고시원 생활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 Rehabilitation Problem Solving Form을 적용한 척수손상 환자의 임상 사례
- 가상현실 게임을 이용한 훈련이 뇌졸중환자의 기능회복에 미치는 영향
- 가상현실공간훈련에 따른 산업체 만성 요통 클라이언트의 신체적 및 심리적 기능의 변화
- 작업치료의 중재가 유방암 절제술 환자의 상지기능과 일상생활 및 삶의 질에 미치는 효과
- 한글 Pediatric Evaluation of Disability Inventory(PEDI) 평가도구의 내용 타당도 검증
- 긴장의 연속 : 일반초등학교에 장애아동을 입학시킨 어머니들의 일 년 간의 경험과 변화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