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초등교사의 문화반응교수 자아효능감(CRTSE)에 대한 타당도 기초연구: Gay의 이론을 중심으로
이용수 40
- 영문명
- A Study on culturally responsive teaching self-efficacy of elementary teachers: Based on Gay’s theory
- 발행기관
- 한국다문화교육학회
- 저자명
- 홍수향 장인실
- 간행물 정보
- 『다문화교육연구』제9권 제4호, 1~20쪽, 전체 2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6.12.31
5,2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Siwatu(2007)의 문화반응교수 자아효능감(Culturally Responsive Teaching Self-efficacy) 측정도구를 Gay의 문화반응교수법 이론에 따라 어떻게 범주화 할 수 있는지 살펴보고, 우리나라 초등학교 교사의 문화반응교수 자아효능감은 어떠한지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 경기, 인천지역 수도권 교사 296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첫째, Siwatu(2007)에 의해 개발된 문화반응교수 자아효능감을 측정하는 40문항을 Gay(2010)의 문화반응교수법의 하위 5개영역(다문화 학습자에 대한 지식, 다문화 교육과정 재구성, 문화적 배려와 학습공동체, 의사소통, 다문화수업재구성)으로 분류하여 타당도와 신뢰도검사를 한 결과 총 23문항을 확정하였다. 둘째, 교사들은 ‘문화적 배려와 학습공동체’영역 항목들의 효능감 점수는 높게 나타났으나, ‘의사소통’영역에서는 낮게 측정되었다. 셋째, 초등교사의 개인특성에 따른 차이를 살펴보았으나, 의미있는 결과를 찾을 수 없었다. 이러한 결과는 한국의 초등교사가 교실에서 문화반응교수법을 적용하지 못하고 있음을 의미하는 것으로 교사교육과정에서 다문화교육에 대한 인식전환교육 뿐 만 아니라 실제 교실에서 문화반응교수법을 활용할 수 있는 있도록 교사교육과 연수가 전환되어야 한다. 또한 한국교실 실정에 적합한 문화반응교수 자아효능감을 측정할 수 있는 검사도구 개발이 필요하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plore elementary teachers’ culturally responsive teaching self-efficacy (CRTSE), and to categorize it based on culturally responsive teaching theory by Gay. To accomplish this purpose, the data (n: 296) from the survey was analyzed by using SPSS for descriptive statistics, frequencies, factor analysis, and reliabilities. The survey contains 40 questions for measuring culturally responsive teaching self-efficacy, classified by five factors: knowledge base of culturally diverse learners, multicultural curriculum reconstruction, cultural caring and learning community, communications, and reconstruction of multicultural instruction. Factor and reliability analyses were conducted using 23 of these questions. “Culturally caring and learning community” is the high factor, whereas “communication” is the lowest factor. CRTSE in relation to elementary teachers’ personal characters is not meaningful. The conclusion drawn from the results is that elementary teachers in Korea currently do not implement culturally responsive teaching theory, which in turn, emphasizes the needs for further implementation of culturally responsive teaching.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관용을 넘어 정의로: 데리다의 ‘환대’(hospitality)의 철학에 비추어 본 다문화 사회
- < 프리덤 라이터스(Freedom Writers) > 영화읽기 수업의 교사 내러티브 사례 연구
- 간호대학생의 다문화 인식과 문화적 민감성의 상관관계 및 영향요인
- 사회경제적 취약계층 학생의 진로결정 시 진로정보 획득수준 영향 요인 탐색
- 다문화가정 청소년의 문화적응 스트레스와 심리사회적 적응의 관계: 자아정체감의 매개효과와 지각된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
- 초등교사의 문화반응교수 자아효능감(CRTSE)에 대한 타당도 기초연구: Gay의 이론을 중심으로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유치원·어린이집 영유아 안전사고 뉴스 보도의 주제 동향 분석: 최근 5년간 주요 언론사 기사 중심으로
- 초등학교 입학 관련 그림책의 내용분석: 유·초 연계를 중심으로
- 5세 유아의 미디어 이용 시간에 따른 수용어휘력과 표현어휘력 차이 분석: 한국아동패널 6차년도 자료를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