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 프리덤 라이터스(Freedom Writers) > 영화읽기 수업의 교사 내러티브 사례 연구
이용수 11
- 영문명
- A narrative case study on teachers’ narratives about Freedom Writers in a movie literacy class
- 발행기관
- 한국다문화교육학회
- 저자명
- 양영자
- 간행물 정보
- 『다문화교육연구』제9권 제4호, 89~117쪽, 전체 29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6.12.31
6,2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는 다문화교육 전공의 < 프리덤 라이터스(Freedom Writers) > 영화읽기 수업에서 산출된 교사 내러티브를 분석한 교사 내러티브 사례 연구이다. 수업에서 산출한 교사 내러티브를 내러티브 사례 연구 분석법으로 분석한 결과, 다음의 여섯 범주를 도출하였다. 기존 세력의 대변자인 영화 속 부장교사에게서 한국교사의 모습 발견하기, 초임 열정의 Erin Gruwell에게 감동하지만 거리두기, 나의 교육적 고민의 대안으로 Erin Gruwell의 교수법 수용하기, Erin Gruwell의 삶의 태도를 역할모델로 삼아 교육 실천 자각하기, 학생을 편견 없이 나의 삶의 중심에 두기, 학생들의 변화를 위해 교사의 헌신을 고민하기. 이상의 연구결과로 한국 맥락에서 교사가 다문화교육에 대해 지니는 인식, 지각, 성찰을 드러냄으로써, 한국에서 교사가 다문화교육 실천가가 되려면 어떤 ‘걸림돌’과 ‘가능성’이 있는지를 이해할 수 있는 일차 자료를 제공함과 아울러, 영화를 활용한 다문화교육 전공 수업의 한 가지 방식을 제공하고자 하였다.
영문 초록
This narrative case study analyzes teachers' narratives about Freedom Writers from a movie literacy graduate course. The current study extracted six categories from the teachers’ narratives. The first category is Korean teachers being able to identify the character of director, who represents the pre-existing “norm” in education. The second category is experienced teachers being inspired by the enthusiasm of a novice teacher but at the same time keeping their distance, and third is using the main character’s, teaching methods as a way to resolve their instructional concerns. The fourth category is research participants taking Erin Gruwell’s perspective toward life and using it as a model in education, while the fifth is research participants making students a priority in their lives and focusing on the students’ lives without prejudice. The sixth category is research participants sacrificing for transformation of students. As a result, this study reveals recognition, perception, and reflection of teachers on multicultural education in the Korean context primary sources to understand what kind of obstacles and possibilities exist for teachers as practitioners of multicultural education. In addition, this study will provide practical information about a type of graduate course that uses movies in multicultural education.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 배경
Ⅳ. 분석결과
Ⅴ. 결 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관용을 넘어 정의로: 데리다의 ‘환대’(hospitality)의 철학에 비추어 본 다문화 사회
- < 프리덤 라이터스(Freedom Writers) > 영화읽기 수업의 교사 내러티브 사례 연구
- 간호대학생의 다문화 인식과 문화적 민감성의 상관관계 및 영향요인
- 사회경제적 취약계층 학생의 진로결정 시 진로정보 획득수준 영향 요인 탐색
- 다문화가정 청소년의 문화적응 스트레스와 심리사회적 적응의 관계: 자아정체감의 매개효과와 지각된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
- 초등교사의 문화반응교수 자아효능감(CRTSE)에 대한 타당도 기초연구: Gay의 이론을 중심으로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